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490.jpg
KCI등재 학술저널

독일의 과학문화 - 대중의 ‘과학과 인문의 이해’와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

Die deutsche Kultur der Wissenschaftskommunikation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s öffentlichen Verständnisses von Natur- und Geisteswissenschaften -

DOI : 10.17995/kjgs.2018.11.39.81
  • 395

독일의 과학문화정책은 첫째로 과학과 사회의 소통과 대화, 그리고 대중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며, 둘째로 과학 연구를 인문사회학적 맥락 속에서 이해함으로써 과학기술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 하며, 셋째로 독일은 과학문화사업과 활동에 있어 시민들의 광범위한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참여형’ 과학문화 패러다임의 전형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독일은 연방정부의 후원과 수많은 연구기관(단체)을 회원으로 확보해 안정적이고 통합적으로 다양한 과학문화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다. 또한 과학과 사회의 소통을 위한 행사프로그램은 단발성, 이벤트성을 지양 하고, 장기지속성을 담보하는 형태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 덕택에 독일의 과학소통 및 과학문화는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서 “안정” 되어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독일의 과학축전은 주로 연방정부에서 주도하는 대형과학축전의 형태 이다. WiD재단이 주관하는 독일 최대의 과학축전인 ‘하계과학축전’은 일주일 동안 대형전시회 뿐만 아니라, 과학과 문화예술이 연계된 융합형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과학기술과 대중 간의 소통의 출구를 다각도로 마련함으로써 과학대중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과학과 사회의 소통의 간극을 좁히는 데에 성공하고 있다. 또한 7년 동안 시행된 ‘과학도시’사업은 과학문화를 매개로 지자체, 시민, 대학, 기업, 자치단체 등 다양한 주체가문화의 지역 확산과 과학에 대한 대중의 이해와 관심을 이끌어 내었다. 독일의 과학자 사회 또한 ‘대중의 과학과 인문의 이해’(PUSH)로 과학기술을 인문적 차원에서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독일의 과학문화는 인간의 정체성에 총체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더욱더 주목받고 있다. 독일의 과학교육은 학교교육에서 충실히 다루어지고 있지만, 다양한 기관 에서 유소년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 밖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을 제공 하고 있다. 현재 독일의 대부분의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어린이대학 (KinderUni)’은 과학기술과 인문사회예술이 연계된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창의력을 높이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크게 기여하고 있다. 드레스덴 공대도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 으로 대학과 연구소, 산업시설, 과학관 등 지역의 다양한 기관을 연계해 탐구체험형 과학문화프로그램인 주니어닥터(Junior Doktor)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관심과 추후 연구자 로서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동기를 갖게 하는 데에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 하였다. 독일의 과학관과 박물관들은 예외 없이 다양한 유소년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과학관이나 박물관이 존재하면 그 공간에서 다루는 소재를 활용한 유소년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만드는 것이 특징적이다. 독일의 과학 문화 활동의 특징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영역은 민간 기업이 시행하고 있는 과학문화프로그램이다. 독일 기업의 경우 거의 대부분 기업의 홍보 및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넘어 다양한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독일의 성공적인 과학문화사업과 활동은 과학문화의 지속적인 확산과 세부 프로그램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한국의 과학문화에 적합한 모델이될 수 있다. 특히 대중의 일상과 괴리되지 않고 가족 모두 ‘소풍’이나 ‘축제’로 함께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독일의 과학문화정책과 세부프로그램 및 콘텐츠에 주목해야 한다. 과학이 전문가 영역을 넘어 이미 ‘대중이 즐기고 소비하는 문화’로 정착되어 있는 독일의 과학문화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Erstens: Die in Deutschland geübte Wissenschafts- und Kulturpolitik fördert Kommunikation und Dialog zwischen Wissenschaft und Gesellschaft und zielt auf die Herausbildung eines öffentlichen Verständnisses von Wissenschaft und Technologie ab. Zweitens: Die Maßnahmen fördern das Verständnis von wissenschaftlicher Forschung und ihrer Bedeutung für die Menschen, indem sie sie in einem menschlichen und sozialen Kontext darstellen. Drittens: Die Maßnahmen zielen darauf, die allgemeine Mitwirkung in Wissenschaft und Technologie zu fördern, indem sie die Bürger zur bereitwilligen Beteiligung ermuntern. Tatsächlich erhält Deutschland weltweite Aufmerksamkeit als ein Modell für das Paradigma ‘partizipatorischer’ Wissenschaftskommunikation und -PR wegen der umfangreichen Beteiligung von Bürgern. Mit gesicherter Unterstützung der Bundesregierung und einer Vielzahl von Forschungsinstituten werden in Deutschland diverse wissenschaftliche und kulturelle Programme entworfen und betrieben, die stabil und integriert sind. Eventprogramme für die Kommunikation zwischen Wissenschaft und Gesellschaft sind ebenfalls hervorzuheben, da sie langfristig ausgelegt sind. Dank dieser Anstrengungen werden Deutschlands Wissenschaftskommunikation und -PR als weit fortgeschritten bewertet verglichen mit denen anderer europäischer Staaten. Der Wissenschaftssommer, Deutschlands größtes Wissenschaftsfestival, ausgerichtet durch “Wissenschaft im Dialog”(WiD) und unterstützt durch die deutsche Bundesregierung, bietet eine wochenlange Ausstellung und ein Programm, das Wissenschaft, Kultur und Kunst miteinander verbindet; es trägt in hervorragender Weise zur Popularisierung von Wissenschaft bei, indem es eine multilaterale Plattform bietet für die Kommunikation zwischen Wissenschaft und der Öffentlichkeit, und hat erfolgreiche dazu beigetragen, die Kluft zwischen Wissenschaft und Gesellschaft zu verringern. Darüber hinaus hat das seit sieben Jahren bestehende Projekt “Stadt der Wissenschaft” Gelegenheiten geschaffen, dass sich Kommunalverwaltungen , Bürger, Universitäten und Unternehmen durch wissenschaftlich-kulturelle Aktivitäten vernetzen. Das Projekt hat das öffentliche Verständnis von und Interesse für Wissenschaft gefördert, indem es den Fokus auf die Erweiterung des Raumes, in den die Wissenschaft vordringt, gelegt hat. Darüber hinaus haben die “Stadt der Wissenschaft”-Events die Schaffung weiterer wissenschaftlicher und kultureller Aktivitäten inspiriert, seien sie einmalig oder auch langfristig. Deutsche Wissenschaftler zeigen sich ebenfalls offen für das sogenannte PUSH(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Humanities). Deutschland hat insbesondere eine konvergierte Form der Wissenschaftskultur implementiert, indem es die Geisteswissenschaften den Natur- und Technikwissenschaften zur Wahrnehmung in der Öffentlichkeit an die Seite stellt. Dabei muss die deutsche Wissenschaftskultur, die die Natur- und Technikwissenschaften auf der humanistischen Ebene begreifen will, der Vierten industriellen Revolution mehr Aufmerksamkeit entgegenbringen, die Zeichen ist für einen tiefgreifenden Wandel in der menschlichen Identität. Die naturwissenschaftliche Bildung wird in der deutschen schulischen Erziehung gewissenhaft gepflegt, doch zusätzlich bieten verschiedene Institutionen Kontaktprogramme für Kinder und Jugendliche außerhalb der Schulen. Die “KINDERUNI”, die aktuell an den meisten deutschen Universitäten durchgeführt wird, hat sehr dazu beigetragen, die Kreativität und Problemlösungskompetenz von Kindern zu stärken, indem sie ein integriertes Ausbildungsprogramm bereitstellt, das Natur-, Geistes- und Sozialwissenschaften verbindet. Die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bietet ihr “JUNIORDOKTOR”-Programm, ein auf Erkund

I. 들어가는 말

II. 독일의 과학문화정책과 과학문화프로그램

1. 독일의 과학문화정책

2. 독일의 과학문화사업과 활동

(1) 대화하는 과학재단(WiD)의 과학문화프로그램

(2) 독일학술진흥재단협회(SDW)의 과학문화프로그램

(3) 대학의 과학문화프로그램

(4) 공공기관 과학문화프로그램: 과학관 및 박물관

(5) 기업의 과학문화프로그램

III.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