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탈리티기업 구성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직무열의와 변화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reative Self-efficacy on the Job Engagement and Change-oriented Behavior of the Hospitality Business * :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137

서비스기업은 경영혁신의 패러다임이 창의성을 기반으로 변화함에 따라 기존의 인적·물적 네트워크를 새롭게 확장하고 관계의 지속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업은 인적자원의 창의적 사고와 행동을 유도함으로써 직무소진(job burnout)을 최소화하고 자신의 직무에 긍정적으로 헌신할 수 있는 내재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성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직후원인식에 따른 조직의 변화지향 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조직의 창의적 변화와 혁신에 필요한 효율적 인적 자원관리와 전략적 경영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와 변화지향성과의 영향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후원인식은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조직은 조직의 문화를 자율적이고 공정한 환경으로 개선함으로써 개인이 창의 성을 자유롭게 발휘하고 직무활동에 필요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확산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배려하도록 조성할 필요가 있다.
Service firms want to renew existing human and physical networks and maximize the sustainability of their relationships as the managerial innovation paradigm changed on creativity. In this respect, companies need an internalization process to minimize job busts and positively devote to their jobs by inducing creative thinking and behavior of human resourc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strategic management measures necessary for creative change and innovation of the organization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reative self-efficacy and job engagement of the employees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the change-oriented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the employe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oth the work engagement and the change-oriented behavior.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n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work engagement. Ultimately, organizations need to develop their culture into an autonomous and fair environment so that individuals can exercise their creativity freely and creatively resolve problems and spread their creative job activities.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Ⅴ.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