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514.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사회 중심의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통합모형 구축

수원시를 중심으로

  • 228

본 연구는 현재 장애가 있거나 발달이 지연되어 장애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만 5세 이하 영유아를 조기에 발견하고 개입하기 위해 수원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기반형 장애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체계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원지역의 장애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과 관련된 기관(보건, 의료, 교육, 보육, 복지, 부모회)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장애 조기발견 및 개입과 관련된 이론적 고찰, 수원지역 장애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체계분석, 실태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전문성, 통합성, 지속성, 간학문성, 접근 용이성의 원칙을 도출하였으며, 2019년 개소할 수원시발달장애인종합지원센터를 통합체계의 컨트롤 기관으로 설정하여 2개의 모형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ocal based model for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disabilities which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Suwon area in order to detect and intervene of children under 5 years old who have disabilities or who are exposed to risk of disability due to developmental delays. In this study, first, we established a cooperation system with institutions (health, medical, education, childcare, welfare, parent groups) related to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in Suwon. In addition, The theoretical review on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the analysis of system in Suwon, and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were conducted. In this way, the principles of expertise, integration, sustainability, interdisciplinarity, and accessibility were developed. The two models were derived by setting the Suwon Support Center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will open in 2019, as a control institution for the integrated system.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수원시 장애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체계의 실태

Ⅳ. 수원지역 장애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과정별 어려움

Ⅴ. 수원시 장애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모형 구축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