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혼의 법률관계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n Problems of remarriage
- 전경근(Jun Gyung Gun)
-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성균관법학
- 성균관법학 제30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12
- 237 - 268 (32 pages)
이혼이 증가함에 따라 재혼도 증가하고 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학자들이나 실무가들이 재혼으로 인한 법률관계에 관하여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고 있어 여러 가지 법률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법률문제를 만드는 첫 번째 이유는 계모의 법적 지위가 법정혈족에서 인척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법정혈족관계였던 계모와 계자녀의 관계가 인척관계로 변경되면서, 변경 전에 父의 사망으로 계모에게 상속되었던 재산이 계자녀에게 상속되지 않는 것으로 되었다. 두 번째 이유는 황혼재혼이 증가하면서 피상속인의 재산이 배우자에게 상속되기 때문이다. 당사자 일방이 혼인신고를 한 경우 혼인이 유효하게 성립하는지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재혼으로 인한 친족관계의 형성에 있어서도 초혼보다 복잡하다. 특히 재혼으로 형성된 법률관계에서 비롯되는 이혼으로 인한 재산분할과 상속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재혼을 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각각의 논점에 대한 현재의 논의와 필자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재혼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문제가 누적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재혼에 관한 연구가 조금 더 활발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With the increase of divorce, remarriage is increasing. However, because scholars and practitioners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the legal relationship caused by remarriage, many legal problems have arisen. The first reason that create the legal problems is the legal status of the stepmother was changed from being a relative by blood to a relative by marriage.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stepmother and stepchildren was changed from a relative by blood into a relative by marriage, stepchildren do not succeed to stepmother’s property, that was stepchildren’s father’s property. And elderly remarriage is increasing, new legal problems are occurring. If either party reports marriage, there is a problem with whether the marriage is vali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evolute from second marriage is more complicated compared to the first marriage. In particular, problems arising from the distribution of marriage property and distribution of inheritance property between stepmother and stepchildren can prevent remarriage. In this article, I present the current discussion and my opinion on each of the above issues. Remarriage is increasing, but we do not research about remarriage. Because many problems are remain in our society. Considering that remarriage is increasing but there is little discussion about it, so I think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remarriage. In this paper, I propose a new approach to remarried marriage, which is based on the concept of remarriage.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계모의 법적 지위의 변화
Ⅲ. 재혼으로 인한 친족관계
Ⅳ. 재혼으로 인한 경제적 관계
Ⅴ. 재혼으로 인한 상속관계
Ⅵ.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