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P2P 대출 현황과 법적 규제
US P2P lending status and legal regulation
- 노태석(Seok Ji Woong) 석지웅(Roh Tae Seok)
-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성균관법학
- 성균관법학 제30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12
- 405 - 429 (25 pages)
정보통신기술(IT)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인터넷, 소셜미디어(Social media) 등 온라인 방식을 바탕으로 P2P Lending, P2P Fund, P2P insurance 등 P2P(peer to peer, person to person) 금융이 전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다수의 투자자가 인터넷 플랫폼과 모바일 장치를 통하여 쉽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비대면 업무처리방식의 정착이 만들어낸 결과로 보인다. 미국의 P2P 대출규제는 연방차원의 규제뿐만 아니라 각 주(州)차원의 개별 규제도 적용되기 때문에 P2P 대출중개업자에게 상당한 규제부담이 야기되고 있으며,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관련 법규정으로 말미암아 규제의 일원화가 필요하다는 비판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규제체계 내에 포섭하여 규제하려는 움직임과 별도의 입법을 통해 새로운 규제체계를 확립해 나가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P2P 대출규제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없이 감독당국의 가이드 라인에 따라 간접적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P2P 대출시장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으로 감독당국의 적극적인 조치와 함께 P2P 대출에 대한 법제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brought the global advance of peer to peer finance including p2p lending, p2p fund and p2p insurance through online channels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 and the internet. This advance was impossible withou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at now enables a large number of investors to share their opinions through online platform and mobile nodes and also manifests peer-to-peer systems. Whil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gulates this newly rising area within the traditional financial regulatory system and rules, the United Kingdom regulates it by newly making separate laws and reg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some point out that substantial regulatory burdens weigh down the P2P lending business due to the two-fold system of federal and state laws and further maintain that the regulatory system must be united into a single regime. Republic of Korea, in the meantime, strives to newly legislate the relevant regulation and use the preexisting rules at the same time for this new industry and business. Currently, a mere guideline of the financial authority governs the P2P lending market in the absence of direct regulation. In other words, the new laws and regulations must be made in Republic of Korea to directly govern the new business field.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미국의 P2P 대출시장 현황
Ⅲ. 미국의 P2P 대출거래 규제
Ⅳ. 우리나라 P2P 대출 규제와 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