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전라도의 김제군(金堤郡)·무장현(茂長縣)·운봉현(雲峰縣)·진안현(鎭安縣)을 대상으로 수령의 재임기간과 교체사유에 대해 살펴본 것 이다. 김제군과 무장현은 해읍(海邑)이며, 운봉현과 진안현은 산군(山郡)에 해당한다. 이들 군현의 수령 재임기간은, 김제군은 평균 20개월이며, 무장현은 평균 17.6개월이다. 운봉현은 21.4개월이며, 진안현은 평균 24.8개월이다. 1년을 채우지 못한 수령의 비중은 무장현이 가장 높고, 진안현이 가장 낮았다. 반면 산군이자 경제적으로 더 열악했던 운봉현과 진안현의 수령이 2년 이상 재임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시기별로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살펴본 결과 두 가지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재임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는 16~17세기에 군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18~19세기에 오면 그 차이가 확연히 줄어 든다는 사실이다. 둘째, 재임기간이 24개월 이상인 경우는 16~17세기에는 그 차이가 컸지만, 18~19세기에는 20%대의 무장현을 제외하면, 김제군은 재임기간의 비중이 늘어나고, 운봉현과 진안현은 재임기간이 줄어들면서, 그 비중이 엇비슷해지고 있었다. 이는 수령의 재임기간이 18~19세기로 갈수록 비슷한 양상으로 변화해 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교체사유를 군현별로 살펴본 결과, 두 가지의 중요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수령이 법정 임기를 모두 채우지 않는 것이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친 매우 일반적인 양상이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파직과 이배가 교체사유로 등장 하는 비중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반대의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즉 4개 군현 모두 19세기로 갈수록 파직의 비중은 낮아지고, 이배의 비중은 높아졌다. 이는 국가의 수령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tenure and replacement reasons of Suryeongs in Gimje-gun, Mujang-hyeon, Woonbong-hyeon, and Jinan-hyeon in Jeolla Province. Gimje-gun and Mujang-hyeon were situated in coastal areas, and Woonbong-hyeon and Jinan-hyeon were in mountainous ones. As for the tenure of Suryeongs in these areas, the mean tenure was 20, 17.6, 21.4, and 24.8 months in Gimje-gun, Mujang-hyeon, Woonbong-hyeon, and Jinan-hyeon,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Suryeongs whose tenure was shorter than a year was the highest in Mujang-hyeon and the lowest in Jinan-hyeon. There were more Suryeongs whose tenure was two years or longer in Woonbong-hyeon and Jinan-hyeon, which were in mountainous areas and inferior economically. The study then examin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found two facts: first, there were huge differences in the cases of one year tenure or less among the guns and hyeons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and these differences were reduced dramatically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Secondly, there were huge differences in the cases of 24-month tenure or longer among the guns and hyeons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Ente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the percentage became similar among them except for Mujang-hyeon that recorded 20% with the tenure increasing in Gimje-gun and decreasing in Woonbong-hyeon and Jinan-hye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enure of Suryeongs was increasingly in a similar pattern among the areas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replacement reasons of Suryeongs among the guns and hyeons and confirmed two important facts: first, it was a very common case that Suryeongs did not finish their legal tenure throughout Joseon; and second, the cases of replacement due to dismissal and transfer showed opposite patterns over time. That is, the cases of dismissal dropped across all of the four areas in the 19th century with the cases of transfer ris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government’s evaluations of Suryeongs were changing in a positive direction.
1. 머리말
2. 지역 개관
3. 재임기간의 실태
4. 수령의 교체사유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