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600.jpg
KCI등재 학술저널

The Quest for Creativity and College Students’ Creativity Characteristics

DOI : 10.35222/IHSU.2018.37.4.33
  • 19

창의성은 기업 세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복잡하지만 중요한 능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티브잡스와 같은 창의적 인물들의 특성을 가지고 창의성 모형 및 창의성 개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개념에 대한 역사적 흐름 및 창의성에 대한 기본 체제에서의 중요한 측면들을 살펴본 후 현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창의적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대학 수업에서의 창의성 발휘에 대한 근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모 대학에 재학 중인 19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은 창의성에 대한 개념을 알지 못하고 있으며 창의성을 어떻게 배우고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확신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성은 전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본 연구자는 대학 교육자들에게 본 연구결과를 통해 창의성 향상을 위한 전공별 전략 및 다양한 활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향후 이에 대한 연구를 제고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Creativity is considered as a complex but important subject in various fields as well as in the corporate world. In response, this paper attempts to align creativity models and processes with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entrepreneurs like Steve Jobs. In addition, in this research I examine the important aspects of creativity research and framework. Then this research examines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nd some sources that their creativity occurs in the classroom at colleg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from undergraduate students reveal that college students are not sure what creativity means, whether they are creative or not, and how they can learn or improve creativ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90 college students in the Gyeonggi Province in Korea.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perception surveys on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llege language teachers should be aware of strategies to improve creativity and encourage their students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for enhancing creativity.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