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721.jpg
KCI등재 학술저널

A Trend of Feminine Leadership Research (1998-2018)

DOI : 10.14251/crisisonomy.2018.14.10.103
  • 108

본 연구는 여성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최근 20년간의 국내에서 발표된 여성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36편을 선별하여 전반적인 연구 현황,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기관 및 조직의 여성대표이었고,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한 형태도 시도되었다. 연구주제는 여성적 리더십의 속성을 탐색하고,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과 변인들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을 다양한 조직에서 리더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여성들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제 현장 상황을 반영하여 연구주제와 목적에 맞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여성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나 여성적 리더십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research trend of feminine leadership for the past 20 years in Korea. We identified 36 studies on feminine leadership and categorized them by subjects, methods and typ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udy subjects were relatively limited, and a qualitative method was dominant in conceptualization of feminine leadership. The effects of feminine leadership on various factors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research subjects need to be extended to a wider range of various organizations and facilitates. Second,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topic and purpose of research. Third, it is crucial to conduct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ools that can measure feminine leadership.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