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정전>은 친부모의 억울한 죽음과 이에 대한 여성 인물의 복수성취를 전체적인 서사의 얼개로 삼는 여성영웅소설이지만 효녀의 복수담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돌출적인 장면을 다수 포함한다. 이는 소설 내에서 정수정이라는 인물이 장수 제후로서의 정체성 및 효녀 충신으로서 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스스로를 인식하고 해당 정체성들의 지속을 주장하면서 아내·며느리로서의 덕목을 등한시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정수정전>의 서술자는 그녀의 행동에 대해 비판적 논평을 덧붙이지 않고 서사의 결말 또한 이 인물에게 가문 외적 명예뿐만 아니라 가문 내 안정적 지위를 보장하면서 마무리된다 조선후기 사회는 부덕에있어 열이 충과 효를 압도하는 방식으로 위계가 공고화된 공간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정수정전 에서는 여성 행위자가 충·효·열가운데 어떠한 윤리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추구할지의 문제가 문제화되고 있으며 정수정은 독자적으로 충·효·열 간의 위계를 설정하고 특정 덕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행위자로 형상화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정수정전>은 정수정이라는 인물을 통해 경합하는 윤리적 가치들의 위계가 행위자의 선택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는 한편 소설 속 행위자인 정수정의 선택을 옹호하는 소설이라고 새롭게 해석될 수 있다
1. 서론
2. 정수정의 남장과 융복 개착
3. 정수정의 행위자성 발휘
1) 서술자의 태도와 서사의 결말
2) 윤리의 경합과 선택하는 행위자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