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654.jpg
학술저널

조선 세종 대 ‘내사천內司天’의 설치와 내서운관內書雲觀

Installation of the Nae-Sacheon 內司天 and the Nae-Seoungwan 內書雲觀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n the Joseon Dynasty

  • 143

세종 13년(1431) 서운관 관원의 천문 관측 능력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일었다. 천문 관측은 기본적으로 재이를 파악하는 것이었고, 제왕학이라는 측면에서 이것은 군주에게 천명天命의 담지 여부를 명시해 주는 활동이었다. 그래서 전통적으로 엄격함이 요구되었다. 한편 세종 13년(1431) 무렵은 조선이 수시력의 원리 파악에 매진하고 있던 때였다. 수시력 분석의 목적은 독자적인 역법 체계의 수립에 있었다. 독자적인 역법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역리에 대한 해박한 이해와 한양을 기준으로 하는 천문 상수의 측정이 필요했다. 그런데 당시 서운관은 이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수준의 관측 능력을 보이지 못했다. 그래서 이를 계기로 궐내에 내사천이 설치되었다. 내사천이란 궐 안에서의 천문 관측을 의미한다. 중국의 역대 왕조에서는 궐의 안과 밖에서 모두 천문 관측 업무를 수행했는데, 조선에서도 이를 모델로 하여 내사천을 설치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그 이듬해인 세종 14년(1432) 간의대 사업으로 구체화되었다. 간의대가 설립되면서 궐내에서 본격적으로 천문역법 관련 업무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를 수행할 담당 부서로 내서운관이 설치되었다. 내서운관에서는 우선 보루각 자격루 업무를 맡았다. 이전까지 시보時報 업무는 금루방에서 관장했는데, 자격루의 제작 이후부터는 내서운관에서 전담하게 되었다. 그리고 간의대 사업이 내서운관에 편입되었다. 간의대 사업은 몇몇의 문신이 주도했던 것으로 항구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서운관의 운영체제 속에 편입되어야 했다. 이후로 내서운관은 간의대 사업을 전담하게 되었다.

In the thirteen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1431), skepticism was rising over the capability of the Bureau of Astronomy (Seoungwa 書雲觀). Traditionally, Joseon dynasty astronomical observation strictly demanded precision because its primary purpose was to detect signs of portents. In terms of kingship, this specific activity determined the legitimacy of the monarch, whether he possessed the Heavenly Mandate (天命) or not. Around 1431, Joseon court was exerting efforts to through analyses of the computational principles of Shoushi Calendar (授時曆) from China, in order to establish Joseon’s own calendrical system. The task not only demanded mastery of the calendrical computation methods, but also securing the astronomical constants calibrated in the location of Hanyang. However, Seoungwan at the time demonstrated no sufficient level of observation technique as required, so that in 1431, the Inner Astronomical Observatory (Nae-sacheon 內司天) was installed in the Gyeongbokgung Palace for observation inside the palace ground. The installation of the inner and the outer observatories in Joseon dynasty was based on the Chinese model, which by every dynasty carried out astronomical observation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palace ground. The efforts further progressed to establish an equatorial torquetum observation platform (Ganuidae 簡儀臺) in the following year (1432), enabling the full-fledged study of calendrical astronomy. Then, the Inner Bureau of Astronomy (Naeseoungwan 內書雲觀) was installed to manage the project. Naeseoungwan’s business began with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an alarm clepsydra (Jagyeongnu 自擊樓) and took over the Ganuidae project in order to manage it as a permanent official task.

I. 머리말

II. 세종 13년(1431) ‘내사천內司天’의 설치

III. 간의대 사업과 내서운관內書雲觀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