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743.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실수업 및 평가에 대한 중학생 인식의 종단적 변화 탐색: 학생 특성 및 교사-수업 요인과의 관계

Latent Classes by Trajectories of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Instructional Factors

  • 44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교과별(국어, 수학, 영어) 수업 및 평가 인식의 종단적 변화 양상과 학생 특성 및 교사-수업 요인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 단연구 초4패널 4~6차년도의 세 시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수업 및 평가 인식은 교사의 교수활동 및 과제점검에 대한 학생의 인식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시기 수업 및 평가 인식 변화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성장궤적이 이질적인 유형으로 나타날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3-step 방식에 기반한 잠재계층성장분석(Asparouhov & Muthen, 2013)을 실시한 결과, 모든 교과에서 수업 및 평가 인식 변화의 잠재계층은 수업 및 평가 인식이 3년 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상유지집단(65.6∼69.5%), 인식이 점차 높아지는 상승집단(22.9∼24.3%), 인식이 낮아지는 하락집단(7.6∼10.1%)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잠재 계층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모든 교과에서 교사-학생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하락집단 및 상승집단 보다는 상유지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학습노력, 학습방법, 수업참여, 학업성취도는 상유지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및 평가에 관한 교육적 시사점 및 논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three subjects(Korean, Mathematics, English) and to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instructional factors in middle school. For these purposes, we used the three-point data from the fourth grade panel of SELS(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irst, we assumed that the growth trajectory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perception during middle school would appear as a heterogeneous type and conducted LCGA(latent class grow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all subjects, the latent classes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perceptions are divided into three such as a) a high-level maintaining group(65.6 ∼69.5%), b) a increasing-group(22.9∼24.3%) and c) a decreasing-group(7.6∼ 10.1%). Second, Whe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positive, th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level maintaining-group. Third, the high-level maintaining group showed the highest learning effort, learning method,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three latent class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on effective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