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학 및 유전체 연구의 결과는 난치병 치료를 포함하여 21세기형 최첨단 의약학 분야의 획기적인 발전에 크게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현재 세계적으로 비교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생명과학 분야의 기술적 발전의 실용화는 경제 산업적 측면에서의 가치 창출로 연계되어 국가 경쟁력에 크게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재생의학 및 유전체 연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윤리적, 사회적 문제들은 의과학계는 물론 범사회적인 합의를 바탕으로 그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때 더욱 효과적인 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국내외 전문가들에 의해 주로 논 의되어온 추상적인 생명윤리 논쟁에서 벗어나 일반인들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해 과학 일반과 재 생의학 및 유전체 연구 등에 대하여 국민의식과 문화적 대웅양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재생 의학 및 유전체 관련 연구에 직간접으로 참여하고 있는 정부기관, 의과학계, 언론계, 전문가 집단 및 시민단체 동의 사회 각 주체들이 발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생명과학 연구를 위해서는 어떠한 범위 내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유기적인 지원체제 구축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파 하였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일반 국민들의 의식조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국민들이 생명과학 연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 필요성과 발전가능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지식이나 정보의 측면 에서는 매우 부족한 수준인 반면, 이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과학기술부, 의과학계, 보건보지부 등의 정부와 관련 전문기관의 적극적인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 결과 생명과학 관련 연구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태도는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세대와 성별, 그리고 학력에 따른 의식과 태도 의 차이들이 다양하게 드러나고 있어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세대간, 학력 간 갈동구조가 생명 과학 연구에 대한 태도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생명과학 관련 연구 및 연구결과에 대해서 40대 이상은 과학계의 자율성을 인정하고 있는 반면,30대 이하는 다른 사회적인 검증의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 하고 있었다. 유전체 연구에 대한 관심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었고, 연령이 높을수 록, 학력이 높을수록 더 많은 관심을 표명하였다. 또한 유전자 및 수정란 이용에 대해서 질병과 관련된 항목들에 대해서는 비교적 허용적이었으나, 최근 이슈가 된 생명복제에 대해서는 강한 반감을 표시하였다. 유전체 연구의 윤리성에 대해서는 30대, 20대, 40대, 50대의 순으로 강경한 입장을 나타냈다. 한편 관련 기관의 역할분담에는 정부기관, 특히 과학기술부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컸다. 대다수의 국민들은 향후 유전자 등의 생명공학이 인류의 건강과 복지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 이라고 응답하였고, 따라서 좀 더 많은 예산 투자와 연구개발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남성이고, 학력이 높고, 연령이 높고, 자녀가 있는 집단의 평점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재생의학 및 유전체 관련 연구를 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있어 사회의 갈등 구조를 완화하고 각 대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홍보 및 교육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조사 결과 많은 국민들이 생명과학 분야가 앞으로 국가의 전략 산업으로서 국가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고, 이를 위해 전략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사설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정부나 관련 학계에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관리 및 법적 제도를 마련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향후 법적 분쟁이나 소모적인 사회적 논쟁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Although regenerative and genetic medicine using stem-cell research are considered as major solutions for currently non-curable diseases, the so-called “Hwang Woo Seok” incident had shed light on potential legal, ethical, and social issues concerning the breakthrough. As constructive assessment and information of social dispositions are needed, this research reviewed the recent development of social, political, and ethical aspects of biotechnology and life sciences in general and stem-cell research in specific. Based on the discussions and debates in the review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 nation-wide survey on the public s knowledge and its toward stem-cell research was conducted in 2006. The parameters of survey included 1) attitude toward general sciences and research products, 2) interest and importance of genetic medicine, 3) the role of social institution in life sciences, and 3) future outlook and solutions on regenerative research and stem-cell sciences The results of our research show that the public acknowledges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of biotechnology, yet with little professional knowledge in the field. The degree, however, varies among generations and socioeconomic status. For instance, the older respondents over age 40s, tend to support scientists and scientific research, whereas those under 30s have more reservation in the development of life sciences. It is also revealed that male and those with higher education have more interests and support in stem-cell research in general, But, most of the respondents disapprove the research concerning human cloning. These results imply that class-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of bioethics in regenerative medicine and stem-cell research are needed Finally, the public expects that life sciences and stem-cell research will grow as a leading strategic industry and contribute to the nation in the future, and thus, the governmental and educational institutes rather than the media or NPO s initiate systematic guiding rules and principles for research on biotechnology and life sciences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전제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조사 결과
Ⅴ. 논의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