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ㆍ고등학생의 에이즈 지식과 차별태도
HIV/AIDS Knowledge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and Identifying Factors Which Impact the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HIV/AIDS among Adolescents in Seoul, Kores
본 연구는 서울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에이즈와 관련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여 향후 국가 성교육 관련 사업 계획과 평가 시 활용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 대상 모집단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와 고등학생이 대상이다. 표집은 서울 지역을 강남과 강북으로 나눈 후 동서권역으로 구분하여 4개 권역으로 나누었다. 중학교는 각 권역마다 교육청을 선택하여 총 4개의 교육청이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교육청의 중학교 명단을 모두 파악하여 2개교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총 8개교를 선정하였다. 고둥학교는 인문계 고둥학교 6개교와 실업계 고동학교 2개교를 지역별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중학교 8개교와 고둥학교 8개교에서 각 학년별로 2개 반을 무작위로 뽑아 그 반을 모두 조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총 배포된 설문지는 3,370부였으며, 수거된 설문지는 3,135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총 3,135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설문지 34부를 제외한 총 3,101부(98.9%)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많은 청소년들이 에이즈 감염이 모기(64.9%),키스(59.2%),물잔(57.5%),변기(54.7%),동성애(53.1%)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고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에이즈 감염인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여전히 상당수가 부정적이다. 에이즈는 혐오스럽다든가 (58.6%),감염학생이 옆자리에 않으면 피하겠다(52.1%), 에이즈는 자신의 잘못된 성행위에 근거를 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생각(45.4%),에이즈 감염인과 같이 식사를 하지 못하겠다든가(43.2%) 등으로 차별의식이 높았다. 셋째, 본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결과 에이즈 지식 중 에이즈 감염경로에 대한 지식이 에이즈 차별의식과 일상생활 차별의식(감염 인과 일상생활을 같이 못하겠다는 태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수는 에이즈 감염경로에 대한 지식 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에이즈 예방을 위해서는 에이즈 지식 중 감염경로에 대한 지식과 감염인 에 대한 차별의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이즈 교육 및 홍보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The study is to describe HIV/AIDS knowledge and attitudes (discrimination towards HIV/AIDS and lives with HIV infected persons) and identify the variables which affect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s person with HIV/AIDS (PWHAs) among adolescents in Seoul, Korea.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junior and senior high students in Seoul, Korea. To select sample, we divided 4 districts (north, south, east and west) of Seoul. Two junior high schools and two senior high schools were selected randomly from each district. Three thousand and one hundred-one students (1704 males and 1397 males) from 16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asuring general and transmission knowledge (5 and 8 true-false-don t know items)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PWHAs (5 and 3 items,5-point Likert-type scale) was utilized. The level of HIV/AIDS knowledge was low and the level of discriminatory attitudes was high.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held considerable misconceptions about HIV transmission by mosquito (64.9%), kissing (59.2%),cup sharing (57.5%),toilets (54.7%) and homosexuality (53.1%) as well as stigmatizing attitudes HIV-infected persons and lives with them. The knowledge of HIV transmission predicted best the discriminatory attitudes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social variabl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HIV prevention strategies that increase in the knowledge of HIV transmission for adolescent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