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도시 빈곤지역 주민의 주변화와 건강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질적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Marginalization and Health Inequalities in an Urban Slum of South Korea: A Qualitative Study

  • 1,095

쪽방 지역주민이 겪는 건강불평등은 소외된 도시 빈곤지역의 사회환경적 요인과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사회문제다. 개인이나 가구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건강의 정적 상관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만, 도시 빈곤지역 주민들이 겪는 건강불평등과 연관된 사회 환경 구조의 메커니즘을 탐색하는 주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A동 쪽방 지역 주민들의 경험을 통해, 1) 쪽방지역으로의 유입과정에서 보이는 주변화 과정을 살피고, 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으로 서의 주변화의 과정과 건강불평등의 관계를 탐색하며, 3) 지속 가능한 건강증진 중재방안과 정책적 대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3년 5월부터 7월까지 A동 쪽방 주민 및 지역 활동가 21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질적 자료는 근거이론 방법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반복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코딩, 개념화, 범주화, 이론화했으며, NVivo 버전 10을 활용해 분석했다. 인터뷰 자료 분석 결과 세 개의 주요 주제가 드러났다. 첫째, 주민들은 쪽방 지역으로 유입되기 전, 극심한 물질적 결핍과 질병 및 장애, 이로 인한 노동력 상실이라는 외상적 경험을 겪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를 상실하고 사회적 배제를 겪는 주변화 과정을 거쳤으며 이로 인해 정신건강이 악화되고 알코올 의존도가 심해지는 악순환을 경험했다. 셋째, 쪽방지역의 건강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 주민 주도의 지역사회참여 활동과 역량강화를 통한 건강증진 노력이 중요하며, 질 높은 보건의료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도시 빈곤지역 주민들의 주변화 경험과 현재 겪고 있는 건강불평등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취약 지역 주민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강불평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재방안과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보건복지 수요에 맞는 지역기반 참여형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또 건강한 지역사회를 조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활동을 주민들이 자치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보건사회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Health inequalities in a single-room-occupancy housing area, Jjok-bang continues to represent severe social problems in South Korea. While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 and household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outcomes is well established, limited research have examined underpinning mechanisms, marginalization pertaining to entrenched health inequalities among residents in impoverished areas.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residents’ experiences as follows: (1) which pathway of exclusion people experience before becoming residents in a precarious housing area; (2) how and why marginalization as a social determinant of health relates to health disparities; and (3) what strategies of intervening actions and policies are receptive and sustainable.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21 residents and key informants in a Jjok-bang interviewed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from May to July, 2013. All qualitativ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e used NVivo, version 10 to code, conceptualize, categorize, and theorize data through an iterative comparative process. Three major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First, residents experience past traumatic experiences including extreme material deprivation, illnesses or disabilities, and consecutive loss of labor opportunities before becoming residents in an inner city. Second, residents lost social support and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in the process of marginalization that leaded to deteriorated mental health and severe alcohol dependency. Third, community-driven health promotion programs based on community empowerment are critical and coordinated health care is needed. Increased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etween marginalization and health inequalities can inform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mplex intervening strategies tailored appropriately for vulnerable populations in an inner city at the community and policy levels. It is critical to develop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interventions to meet residents’ health and wellness needs. Health and social policy is required to support community-driven health promotion programs to develop and sustain healthy communit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토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