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Burnout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 in Clinical Nurses

  • 654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하위요인별 우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감정노동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감정노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신건강문제 및 소진의 발생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나아가서는 우울 및 소진을 관리할 수 있는 적극적인 중재전략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6개 3차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60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감정노동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 및 다중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고,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소진은 감정노동의 하부요인 중 감정부조화 및 손상, 조직의 감시 및 모니터링 요인이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role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 in Korean clinical nurses. We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burnout and depressive symptom in a sample of 606 nurses from six Korean hospitals. The results show that five sub-scales of emotional lab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and depressive symptom, and burnou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 of ‘emotional damage and hurt’, ‘organizational surveillance and monitoring’ to depressive symptom. Burno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demands and regulations’, ‘overload and conflicts during customer service’ and ‘lack of a supportive and protective system in the organization’ to depressive symptom. This result indicates that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strategies that target both burnout and emotional labor, given that burnou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depressive symptom, and emotional labor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 to reduce nurses’ depressive symptom.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