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개별입지공장은 주거지나 농경지에 난입해 때때로 매캐한 냄새나 그을음을 내뿜으며 주민들의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 대표적인 예가 김포시 대곶면 거물대리의 주물공장 위해성 논란이다. 전문가들의 입장은 여전히 엇갈리지만, 주민들은 생활터전 내에 있는 공장에 대하여 여전히 민감하고 염려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소적 맥락에 따라 개별입지공장오염에 대한 주민들의 건강위험인식이 어떠하며 관련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환경오염 피해패널과 일반패널 각각의 초점집단면담을 하여 도출된 개별입지공장오염에 대한 주민들의 위험인식 관련 질적자료를 언어네트워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민들은 집과 함께 감각적 오염 경험을 떠올렸으며, 김포를 연상하면서 오염 관련 뉴스 보도와 환경성 질환을 함께 언급하였다. 피해패널의 경우는 주요 오염원을 개별입지공장으로 인지하고 있는 반면에 일반패널은 다양한 오염원 중 하나로만 인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건강위험인식은 감각적 오염 경험과 이러한 경험이 일어나고 있는 장소적 맥락에 의해 재구성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개별입지공장오염을 둘러싼 지역갈등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의사소통전략개발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Most Independently-Located Factories(ILFs) break into residential or agricultural areas, sometimes emitting odor or soot, and causing poor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A case in point is the factory hazard controversy in Daegot-myeon, Gimpo. Although experts remain at odds, residents remain sensitive and concerned about the factories in their ho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ILF pollution affects people s health risk perception at different places and what factors affect their perception. To this end, this research is a data collected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find out how health risks are perceived by ILFs in Gimpo.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health risk perception depending on the place. The residents remembered the sensory pollution experience as they recalled their surroundings of the house. Referring to Gimpo, residents came up with the media and environmental diseases together. Residents had uncertainty about the link between ILF pollution and health. Furthermore, the residents did no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source of the pollution. Damage panel tended to perceive the main cause of contamination as being in the ILF. On the other hand, regular panel perceived ILF was only one of the various sources of contamination. We were able to see that there was room for reinterpretation of personal level pollution experience and health damage in a place context.
l 서론
ll 선행연구 고찰
lll 연구방법
lV 분석결과
V. 논의
Vl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