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李舜臣의 《亂中日記》와 俞晚柱의 《欽英》에 인용된 삼국지연의 초기 판본의 원문 텍스트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교감과 분석을 시도한다. 이 두 문헌 자료는 삼국지연의 초기 수용사 연구와 삼국지연의 초기 텍스트 연구 모두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본고에서는 후자의 관점에 집중하여 논의한다. 본고 제2장에서는 《亂中日記》에 인용된 삼국지연의 원문 텍스트에 대해 분석하였다. 異 文對校에 의하면 이 문구는 C계열 판본의 문구와 가장 유사하다. 그러나 유사하긴 하나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점, 그리고 당시 국내에 A계열 판본이 널리 들어온 점은 입증되나 C계열 판본이 들어왔다는 직간접적 증거는 현재로서는 전무하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면, C계열 판본이 수입되었다가 오로지 《亂中日記》에만 흔적을 남기고 사라졌다고 보기보다는 현재 정확히 규명되지 않은 A계열 초기 판본의 또 다른 국내 유통의 흔적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이에 의거해 李舜臣이 보았던 미지의 삼국지연의 판본을 현존하지 않는 A계열 초기 판본으로 추정하였다. 본고 제3장에서는 《欽英》에 인용된 삼국지연의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본고의 분석에 의하면 俞晚柱가 보았던 삼국지연의 판본은 嘉靖本일 가능성보다는 현존하지 않는 A계열의 초기 판본이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 결론적으로, 李舜臣이 보았던 삼국지연의 판본과 俞晚柱가 보았던 삼국지연의 판본, 그리고 朝鮮活字本 삼국지연의는 모두 현존하지 않는 A계열 초기 판본에서 나왔다고 생각되며, 이 세 판본은 어쩌면 하나의 동일한 판본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고 추정된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original text of the early edition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quoted in Yi Sun-sin’s War Diary and Yu Man-ju’s Heumyeong, and attempts to analyze it. These two documents are closely related to both the early reception studies of Three Kingdoms and the early text studies of Three Kingdom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latter point of view. In Chapter 2, we attempted to analyze the original text of Three Kingdoms quoted in War Diary. According to textual criticism, this phrase is most similar to the phrase in the C series edition. However, the fact that there is no entire similarity, but the fact that the A-series version has been introduced domestically at that time proved, but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direct or indirect evidence that the C-series edition is present at that time, It is more reasonable to see it as a trace of another domestic distribution of the early edition of the A series, which has not been precisely identified at present, rather than the C series edition being imported, but merely being left with only a trace of Three Kingdoms.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early edition of the unknown A series Three Kingdoms, which was seen by Yi Sun-sin. In Chapter 3, we analyzed the original text of Three Kingdoms quoted in Heumyeo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paper, it is more likely that the edition of Three Kingdoms, which Yu Man-ju had seen, was an early edition of the unknown A series, rather than the possibility of Jiajing Edition.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e edition of Three Kingdoms seen by Yi Sun-sin, the edition of Three Kingdoms seen by Yu Man-ju, and the Chosun Metal Type Edition of Three Kingdoms, all came from the early edition of the A series, which has not been precisely identified at present. There is a considerable possibility that these three editions are likely to have come from one and the same edition.
1. 서론
2. 《亂中日記》에 인용된 삼국지연의 원문
2.1 소개
2.2 교감
2.2.1 삼국지연의 판본 분류
2.2.2 각 계열 판본과의 對校
2.3 분석
3. 《欽英》에 인용된 삼국지연의 원문
3.1 소개
3.2 교감과 분석
3.2.1 인용문 ‘라’에 대한 교감과 분석
3.2.2 인용문 ‘마’에 대한 교감과 분석
3.2.3 인용문 ‘바’에 대한 교감과 분석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