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고전소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언제나 필요한 것이지만, 고전소설 교육은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교수자가 어떤 교육 내용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은 교과목의 개발이나 교육 내용 못지않게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본고는 필자가 강의내용을 전달하고 학습자는 듣기만 하는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과정중심 학습활동을 적용해 보고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플립러닝의 이론을 수용해 중국 고전소설의 교육에 적용해 본 것을 기술하였다. 그 작업은 아직 미완성이고 진행 중이지만, 공유를 통해 플립러닝 분야에서의 협업 성과를 기대해 본다. 플립러닝의 가장 큰 한계는 정보화 격차에 따른 접근성 문제, 사전학습의 실효성과 신뢰성이 거론되지만, 무엇보다 교수자의 부담 증가가 가장 본질적이고 현실적인 문제이다.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교수자의 역할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학생 들의 호응을 생각하면 어려움은 상쇄하고도 남음이 있다.
A deep study of classic novels is always necessary, but classical novel education is a different level of problem. Instructors considering how and what to deliveris is as important as the development of course of study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This paper describes how the author has applied various process-based learning activities to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al novels, while accepting the theory of flip-learning and applying it to the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The work is still incomplete and in progress, but we look forward to collaborating in the field of flip-learning through sharing. The biggest limitations of flip-learning are the accessibility problems caused by the gap in information services, the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of learning in advance, but above all, the increasing burden of professors is the most fundamental and realistic problem. It is true that the role of a professor has increased over traditional classes, but given the preference of students, the difficulty is more than offset.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대학 중국 고전소설 교육의 현황
3. 중국 고전소설 교육의 방법 모색
4. 맺음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1920년대 중국소설에 나타난 남편의 ‘아내’ 읽기 * ― <伤势>, <创造>, 《 倪焕之 》 를 중심으로
- 亦舒의 소설 《 我的前半生 》 과 드라마 《 我的前半生 》 의 여성서사 一考
- The Pilgrim’s Progress의 中譯本과 韓譯本의 版本 및 韓國傳播와 影響 考察
- 문학번역론 탐색: 중국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시가 번역 사례를 중심으로
- 《 紅樓夢 》 의 호칭어 ‘姐姐’의 의미와 그 번역 양상에 관한 연구(上) ― ‘姐姐’의 의미를 중심으로
- 《 유림외사 》 의 여성들: 여성서사로서의 의미와 한계
- 淸官의 문학 속 서사변천과 현대적 수용 고찰 * ― 三言 역사인물 包拯과 況鍾을 중심으로
- 《 紅樓夢 》 에 보이는 청각적 상상력
- 《 亂中日記 》 와 《 欽英 》 에 인용된 三國志演義 초기 판본 텍스트에 대하여
- 문학과 의학의 교융(交融), 명말 청초 의학 지식의 전파와 그 의미 * ― 장조의 《 우초신지 》 와 기윤의 《 열미초당필기 》 를 중심으로
- 中國禁書小說의 目錄分析과 국내 수용
- 중국고전소설 교육방법에 대한 일고찰
- 《 七劍十三俠 》 의 명명방식과 인물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