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신체활동 증진 정책의 목표 수립 및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수단 활용에서 요구되는 근거를 이론적,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제시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서 사회적 자본과 신체활동 간 관계,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건강 간 관계에 대한 국ㆍ내외 선행연구들이 제시하는 기존 근거들을 전체적으로 문헌 검토하였으며, 그 후 사회적 자본, 신체활동, 그리고 주관적 건강을 아우르는 인과적 모형(구조방정식 모형) 설정과 검증을 통해 신체활동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목표로 하는 보건 정책의 추진에 있어서 유의할 점을 규명해내고 이를 통해 신체활동 증진과 보건정책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밝혀진 근거중심의 정책을 위한 함의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민들의 신체활동의 양적 지표도 중요한 정책목표가 될 수 있겠지만, 신체활동에서 느끼는 즐거움 혹은 만족도를 신장시키고, 나아가 건강을 증진시키겠다는 것 외에 사교와 네트워크를 위한 동기 등 신체활동의 다양한 동기 요인들을 장려하는 질적 목표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적 참여를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려는 정부와 민간의 노력이 직접적, 간접적으로 건강 수준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을 고려한 정책 개입이 신체활동 증진 정책과 연계적 정책수단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전체 효과의 크기는 사회적 참여, 신뢰, 신체활동의 순으로 나타났으므로 신체활동 향상의 목표로서 양적ㆍ질적 지표들을 구상할 때 신체활동 증진이 실현되는 사회적 맥락을 특히 유념할 필요가 있으며, 시민들의 사회적 자본 축적 과정에 순기능을 하는 정책수단을 연계적으로 구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함의를 정책의 근거로 받아들인다면, 양적 목표 달성에 편중된 우리나라 New Health Plan 2010은 목표의 재설정이 필요하고 지역사회 역량 강화를 단지 신체활동 증진 정책의 세부사업이나 그 수단으로 취급하는 것은 근거가 박약하다고 보이며 이 점에서도 목표의 재조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vidences needed to set policy objectives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n Korea using data of Leisure Time and Sports collected by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in 2007.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pre-existing evidenc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physical activity, and level of subjective(self-reported) health and extended them to the analysis of the current data. Focusing on the role of social capital(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reinforcing physical activity to promote level of health, this study showed that social participation had a direct and a indirect effect on level of health. Trust had only a direct effect. Physical activity played mediating role in affecting self-reported health in regards with social participation. These results gave evidences for enhancing social capital to promote the level of health. Other research finding was that physical activity only composed of quantitative index such as frequency or intensity of exercis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health, but physical activity composed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es had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gave evidences to reorient policy objectives into integr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objectives in health policy for promoting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of social capital, physical activity, and self-reported health was 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