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음주행동과 음주문제는 음주자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속한 사업장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입증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기술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서울시 소재 3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층화비례할 당표본추출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한 원자료 중, 연구목적에 맞는 51개 사업장의 근로자 1,527명을 선정하여 2차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업장의 조직 환경에 관한 정보는 사업장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것이고 근로자 개인의 음주행동과 음주문제에 관련된 것은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수집된 것이다. 분석은 Mplus 5.20을 이용하여 다수준 구조방정식 모형(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활용하였다. 근로자의 음주행동에 대한 다수준 분석 결과, 성, 주관적 음주규범, 음주의사결정균형, 직무스트레스와 같은 개인적 특성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수들이었고 이 변수들이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것에 추가하여 사업장 내 근로자의 성비, 음주회식 비율, 사업장 음주규범과 같은 사업장 조직 환경에 관련된 특성들이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사업장의 조직 환경적 변수가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것이 근로자 개인적 특성에 의해 설명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근로자의 음주문제 예방 및 감소를 위해서는 사업장의 환경적 특성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개인 행동변화보다 우선되는 것이 정책적으로 중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hich determine drinking behavior and alcohol problems of employees. The data was derived from a sample of 3,121 employees working for 104 workplaces with more than 300 employed in City of Seoul. A sample of 1,527 employees at 51 workplaces was selected from the raw data for this study. Data for alcohol-related organizational environment was collected from managers at workplaces selected. From employees at the workplaces were collected for data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drinking patterns and problems.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by using Mplus 5.20. Data revealed that drinking behavior of employees is determined not only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drinking norms, decisional balance for drinking, job stress, also by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alcohol availability during working hours, the gender ratio at workplace, the rate of drinking subculture.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stronger than individual ones in explaining variability of dependent variables.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reducing and preventing alcohol problems at workplace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