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환자의 특성에 따른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functional health literacy)과 의료인의 설명이해도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explan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atients

  • 487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특성에 따라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의료인의 설명에 대한 이해도가 어떻게 달라지고,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의료인의 설명에 대한 이해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10월 20일~10월 28일까지 서울 K대학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30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04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전체적인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정답률은 61.6%이었고, 독해영역(66.5%)이 수리영역(56.7%)보다 약간 더 높았다. 문항별로는 ‘약물의 유효기간’을 확인하는 문항이 89.4%로 가장 높은 반면 1일 4회 복용 약물의 마지막 복용시간을 확인하는 문항이 18.3%로 가장 낮았다.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 점수를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누었을 때, 부족한 수준(45.2%), 적합한 수준 (31.7%), 경계역 수준(23.1%) 순으로 많았다. 환자의 의료인의 설명에 대한 이해도의 경우 주치의(55.5%)보다 담당간호사(61.7%)에서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환자의 특성을 고려할 때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즉 30대, 대학원 이상 집단, 전문직 집단에서 가장 높았고, 남자, 50대, 초등학교졸업 이하, 농업인 경우가 가장 낮았다. 환자의 특성별 의료인의 설명이해도는 연령, 교육수준, 질환명 인지 변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 정도에 따른 주치의 및 간호사의 설명이해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는데, 즉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은 집단일록 환자의 주치의와 담당간호사의 설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질병유형별 사회 집단뿐만 아니라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내 사회취약계층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새터민, 결혼이주자, 이주 근로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건강정보이해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뿐만 아니라 보건의료인(의사)의 노력이 요구되고 보건교육방법도 건강정보의 성격을 고려한 보다 새롭고 효과적인 방법과 매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patients’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explanation on health providers. Survey was performed aimed for patients 30 over at a hospital in Seoul, from 20 to 28 September in 2011 and finally 10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 are 61.6% and reading domains (66.5%) are higher than numerical domains. Functional health literacy is the highest in available period of medicine (89.4%) and the lowest in time of taking doses (18.3%). When functional health literacy was divided by three categories, insufficient, borderline, and appropriate levels are represented to 45.2%, 23.1%, 31.7% respectively. In percentages of patients’ understanding on health providers, physicians’ explanation (55.5%) are lower than those of nurses’ explanation (61.7%).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atients, functional health litera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gender,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Patients’ understanding on explanation of providers is also significant with age, education and perception of disease. Patients’ understanding on explanation of providers was represen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other word, the higher functional health literacy is the higher patients’ understanding on explanation of providers. The authors suggest that society be interested in functional health literacy of minor group such as North Korean defectors, migrants for marriage and work, patients by disease, and elderly, who are increasing rapidly. In additions, not only patients,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functional health literacy of patients. To improve outcomes of health education, we have to use more effective and fresh way through media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health information.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고찰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