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변용, 문화 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의 관계

Impacts of Acculturation &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 299

본 연구에서는 대구ㆍ경북지역에 거주하는 173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우울, 문화 변용, 문화 적응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대상자의 국적은 베트남, 평균연령은 20-29세, 한국 거주기간은 2년 이상 4년 미만, 학력은 중학교 졸업, 종교는 불교, 가족 월수입은 100-200만원, 결혼 동기는 ‘잘 사는 나라에서 살고 싶어서’, 남편 소개 경로는 결혼중개업체를 통하여, 자녀 수는 한 자녀가 가장 많았다. 사회 인구학적 변수 중 월수입이 높을수록, 자신의 모국과 모국문화에 대하여 한국인의 인지도가 높다고 지각할수록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국과 모국 문화에 대한 한국인의 인지도가 낮을수록 문화 적응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우울정도에 따른 문화변용 유형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의 평균 차이 분석 결과 정상집단은 우울집단 보다 통합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주변화는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우울집단은 정상집단보다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 지역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문화 변용 유형은 분리, 주변화, 동화, 통합의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변용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문화변용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포함시켰을 때 설명력 44.6%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향후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 및 문화적응 유형별 사회 지원 및 사회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Daegu and Kyungpook area, and to identify the impa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pattern of acculturation on their depression in this population. Methods: Research objectives were accomplished by conducting an anonymous questionnaire survey with 173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8.0. Results: Women who received higher monthly income and perceiv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reported less depression compared to women receiving low monthly income and perceiving low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Women who perceived low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reported also highe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n women perceiving high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The patterns of acculturatio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Daegu and Kyungpook area appeared separation, marginalization,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in that order.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among the patterns of accultur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ulturative stress, but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ulturative stress.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ose who reported greater acculturative stress tended to report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were acculturative stress and acculturation showing 44.6%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 the author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ocial service program based on the women s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nd the patterns of acculturation.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