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etermination Factor of Quality of Life for Senior between Korea and Japan
- 최아름(A Reum Choi) 정홍주(Hongjoo JUNG)
- 한국보건사회학회
- 보건과 사회과학
- 제33집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3.06
- 29 - 57 (29 pages)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먼저 고령화를 경험한 일본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분석,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제적 측면, 신체적 측면, 사회적 측면을 고려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한국과 일본 노인집단의 심리적 측면과 삶의 질의 측면의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노인복지관, 시니어 클럽 등을 이용하는 신체활동에 비교적 문제가 없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한국 201부, 일본 172부가 통계처리 되었으며, 한일 노인 집단간 경로분석 및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 노인 집단의 삶의 질에서 생활수준과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일본 노인 집단의 차이가 있었던 요인은 사회적지지 요인으로 한국 노인들에 있어서 사회적지지 요인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본 노인들에게 사회적지지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일본 노인 집단 모두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일 집단 간 영향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본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경로가 한국노인 집단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quality of lives via comparison with Japan where has experienced population aging ahead of us. In order for this, considering economical aspects, physical and social aspects, it is intended to analyze to see if there is a discrepancy of such factors influencing on psychological and quality aspects of lives for seniors between Korean and Japan. As for an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seniors more than 65 years old without having difficulties in physical activities using either welfare center for the aged or senior clubs in Korea and Japan. As for the final procedure, 201 copies of survey in Korea and 172 copies of survey in Japan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data were analyed through path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for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of all,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ves for seniors in Korea and Japan are standards of living and self-esteem showing that standards of living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were important for quality of lives. Factors making a discrepancy in groups of seniors in Korea and Japan were elements for social supports, showing no positive influence or significant influence on seniors in Korea, while indicating a negative influence on quality of lives for seniors in Japan. Such route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discrepancy from groups in both Korea and Japan. In addition, both groups of seniors in Korea and Japan had psychological factors act as mediated effects. Finally,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between Korea and Japan.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