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약국약사들의 사회적 역할 실천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actice of Community Pharmacists’ Social Roles after the Separation of Drug Prescribing and Dispensing in Korea

  • 348

전문주의에 대한 도전이 본격화되기 이전부터도 약국약사의 전문직 지위는 논쟁적인 주제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의약분업 이전 약국약사는 상업적 세팅과 준의사적 업무성격으로 인해 기존의 전문직 이론 하에서 불완전한 전문직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전문직이 사회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고도로 훈련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되고 유지되는 것임을 전제로 하여 의약분업 이후 약국약사들의 전문주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명의 경험이 풍부한 개국약사들의 인터뷰를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하여 의약분업 이후 약국약사들의 경험 안에서 그들이 인식하는 핵심적인 변화, 지향하는 전문적 정체성 및 그 추구전략을 확인하였다. 분업 이후 약국약사들의 경험에서 사회적 역할의 실천과 관련된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약국의 변화된 위치’, ‘환자관계의 변화’, ‘의사관계의 변화’, ‘사회적 역할의 실천동기’, ‘사회적 역할의 실천’, ‘전문성의 강화’, ‘자율성의 추구’, 그리고 ‘상업적 동기와 전문직 역할의 공존’ 범주들은 의약품에 대한 권한을 강화하여 약물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실천에 의미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약국약사들은 이러한 사회적 실천을 위한 “상호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있었는데, 이는 의약분업이 약사와 다른 사회적 행위자 간의 상호의존성을 더욱 강화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기술 발전 및 산업구조 변화 등과 더불어 보건의료체계의 합리화 및 비용효율성을 위한 정책방향은 약국과 약국약사의 사회적 역할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갈 것이다.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약국 및 약국약사의 사회적 역할과 약국에 내재된 상업적 성격의 조화로운 모색이 약사 전문주의의 미래에 중요한 전략이다.

The professional status of community pharmacists has been controversial for a long time. They had been perceived as incomplete profession even before the separation of drug prescribing and dispensing, perceived that pharmacists were quasi-doctors and more business mined than humanitarian. However, the separation changed radically the community pharmacists’ role and the nature of works. Assuming that for community pharmacists the separation might be considered to be a good chance to reinforce their professional statu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community pharmacists social roles, explor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in changing environment, and to reconstruct their professionalism. In-depth interviews from over-10-years experienced pharmacy pharmacists were analyzed by a qualitative method, specifically grounded theory approach. Community pharmacists perceived that their social roles are maximizing the benefits and controlling the risks of drugs. Community Pharmacist’s autonomy could be called “interactive autonomy”, because the setting of their professional practice has been placed in interactive one between doctors, patients, and government after the separation. Advances in pharmaceutical technology, rationalization of national health care system, enhanced accessibility to knowledge of drugs, and drug safety regulations will transform social expectation about pharmacy. Ultimately, their ability to perform needing social roles balanced with their business nature will show the future of the professionalism of community pharmacis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