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운동실천율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증진모형, 건강신념모형 등을 참고한 연구모형을 통해 이전의 경험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증진활동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이전의 관련행위 들은 인지된 건강상태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건강증진활동 의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는 가장 큰 효과(총효과 .551)로 직접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해 사회적 지지의 강화와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질 관리 및 노인체육활동을 위한 전문가 육성체계 마련 등의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s purpose is to find the influence factor of health promotion intention in the young old. And to discuss heath promotion policy for the elderly with study results. The survey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Sept. 13th to Dec. 10th, 2013. 232 complet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 19, an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t-test. And then used Amos Ver. 9 to path analyze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showed that endogenous variable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direct or indirect by other variables such as socio-demographic, satisfaction of facilities and coach, social supports, perceived health promotion effect. Especially, Social supports presented higher effect(total effect .551) than exogenous variables. It is need to formulate health policy that is to encourage social supports, to improve coach s capability and satisfaction for the young ol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