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강수량과 화산폭발 횟수 간의 중장기 변화 사이의 상관을 통계적 측면에서 검토하여 상관이 매우 높다는 것을 밝혔고 이러한 통계적 유의성을 통해 강수량 변동과 지구내부 운동과의 밀접한 역학적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웨이블릿 방법에 의한 스펙트럼 및 이동평균 분석결과, 자료계열 간에 주기가 명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KOR, SST와 VOL은 단주기는 대략 3-5년, 중간주기는 단주기의 약 2배수에 해당하는 약 7-10년, 그리고 장주기는 중간주기의 약 2배수에 해당하는 약 16-23년 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체적인 추세를 볼 때 장기적인 측면에서 SST가 KOR과 같은 강수량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명확하다고 보이나, 시기에 따라 나타나는 간헐적 불일치를 볼 때 1980년대 이후의 지속적이고 평균적인 SST 증가 추세가 KOR의 평균적인 증가에 영향을 주기는 하였지만, SST의 변화가 KOR이 가지는 고유의 주기성을 유발한다고 보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에 반에 VOL은 변동의 추세가 KOR과 시기적으로 큰 역전 없이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2010년 이후 최근까지의 급격한 감소 추세는 시기는 물론 정도에 있어서도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KOR의 변동 주기를 유발하는 주요 인자는 SST보다는 VOL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This study shows that the variations between the annual rainfall of Korea (KOR) and the frequencies of volcanic eruptions (VOL) have strong correlations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very closed dynamical relationships in decadal variations of KOR and VOL. The variations of KOR, SST (sea surface temperature), and VOL have the short-term cycle of 3-5 years, mid-term cycle of 7-10 years, and long-term cycle of 16-23 years using the wavelet power spectrum and running mean analyses, although the cycles are not exactly clear. It is clear that SST has strongly influenced the decadal variation of KOR. Although it is clear that the steady and continuous increasing trend of SST strongly affected the increasing trend of KOR, the possibility that the variation of SST caused the decadal variation of KOR is low as there are several inconsistent periods between SST and KOR. The variations of VOL are very well synchronized with those of KOR. An especially steep decreasing trend that started from the 2010 AD is perfectly synchronized in slope as well as in time. In conclusion, it is likely that the main factor that causes the decadal variation of KOR is VOL rather than SST.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recent decline of the rainfall of Korea through the potential effects of global internal forces.
1. 서 론
2. 연구 방법 및 자료
3. 자료의 특성 분석
4. 8년과 10년 이동평균 시계열의 변동성 분석
5. 화산활동과 강수량 변동의 역학적 상관성에 대한 토론 및 고찰
6.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