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강원도를 대상으로 지역의 특성지표를 고려한 격자기반의 수해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수해 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지표인 침수심, 인구밀도, 재해취약인구비율, 유수, 저류시설 저수용량 등을 위해성, 노출도, 취약성, 재해대응및적응역량지표로 구분하였고 각 지표는 세부지표를 포함하고 있다. 지표와 세부지표의 가중치는 계층화분석을 통해 산정하였고 지스코어 방법을 통해 표준화하였으며 표준화된 지표와 세부지표와의 연산을 통해 수해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수해 위험지도 작성 결과, 원주시, 횡성군, 홍천군, 강릉시 등 강원 중부, 북부지역은 시군구 전 지역에 걸쳐 위험도가 높음등급 이상인 지역으로 평가되었으며 울산시 중구, 남구 태화강 인근 도심, 대구시 달성군, 달서구 낙동강 인근 저지대, 경주시와 포항시의 형산강 일부지역에서도 위험도가 매우높음 등급으로 평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작성된 수해 위험지도는 읍면동 또는 격자단위 소규모 지역의 수해 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developed a grid-based flood risk map with indic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Daegu City, Ulsan City, Gyeongsangbuk-do, and Gangwon-do. Indices for mapping flood risk such as flood depth,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ratio vulnerable to disaster, and rainwater storage capacity consist of hazard, exposure, vulnerability, and disaster coping and adaptive capacity. These four indices have a variety of sub-indices. Weights of indices and sub-indices were determined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then values for the indices and sub-indices were standardized using z-score method. The flood risk was estimated by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on the four indices that were calculated through standardized values of sub-indices using the computed weight. The results show that the central and northern areas of Gangwon-do, namely Wonju City, Hoengseong-gun, Hongcheon-gun, Gangneung City, and so on were classified to be more than high risk throughout the area. Jung-gu and Nam-gu of Ulsan City located downtown near Taehwa river, Dalseong-gun and Dalseo-gu of Daegu City located in low-lying area near Nakdong river, and some lowlands near Hyeongsan river of Gyeongju City and Pohang City were determined to have very high risk. The flood risk map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support decision makers in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to mitigate flood disasters for grid-based small areas.
1. 서 론
2. 수해 위험도 평가모형 개발
3. 격자기반의 수해 위험지도 작성
4.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