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중고령은퇴가구의 가구유형 및 주거현황별 경제적 특성 분석

  • 73
커버이미지 없음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브릿지플랜 2020, 주택연금, 주거급여 지원 대상 확대 등 여러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의 지원 대상이 될 수 있는 중고령은퇴가구를 가구유형별로 구분하고 자가거주여부 등 주거현황을 함께 고려하여 각 가구유형별 경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가구유형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1인가구와 부부 가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부부와 자녀·부모 등으로 구성된 부부+기타가구원가구의 비중은 감소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주거형태는 분석대상 자체가 중고령은퇴가 구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자가거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주거형태를 가구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1인가구에서 자가거주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가구유형 및 주거현 황에 따른 경제적 특성의 경우 1인가구의 총소득 및 총소비 규모가 다른 가구유형에 비하여 작게 나타나고 이는 특히 전세 및 월세 등 기타거주가구에서 작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중고령은퇴가구 중 1인가구가 다른 가구들에 비해 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처해있으며 특히 이는 주거형태가 자가거주가 아닌 경우에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경제적 취약계층에 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구유형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며 향후 각 가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을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I. 서론

II. 선행연구

II. 중고령자 관련 제도

IV. 분석 자료 및 방법

V. 분석 결과

VI.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