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887.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사회 상황적 특성이 지역사회 간 정신건강 차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mmunity Contextual Characteristics on Community Differences of Mental Health

  • 18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제반 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중재 가능한 상황적 특성이 지역사회 정신건강에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229개 시군구의 인구집단이며, 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통계청 사이트와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서 확보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방법은 ANOVA, Spearma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등이 었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스트레스 인지율은 보건예산, 정신건강예산, 정신건강인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노인인구비율, 고용률, 기초생활보장수급자비율, 보건예산, 정신건강인력수 등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울감 경험률은 정신건강인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기초생활보장수급자비율 및 정신건강인 력수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 스트레스 인지율은 정신건강예산이, 우울감 경험률은 정신건강인력수가 영향요인이었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간 정신건강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자체적으로 전체 보건예산 뿐 아니라 정신건강예산, 정신건강인력수의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mental health, and to identify if mediatable contextual property acts as factor influencing community mental health. Data of 229 municipal population groups were collected from KNSO and The 6th Community Health Pla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Spearma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erceived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health budget, mental health budget, number of mental health personnel,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portion of the elderly, employment rate, percentage of NBLS recipients, health budget, and number of mental health personnel. The depressive mood differed depending on the number mental health personnel,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centage of NBLS recipients and number of mental health personnel. Mental health budget and number of mental health personnel were respectively influencing factor of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ve mood. Following the above result, in order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mental health of communities,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mental health budget as well as overall health budget and the number of mental health personnel be enforced.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