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896.jpg
KCI등재 학술저널

행다명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Tea Ceremony Meditation Program on the Self-Efficacy of Young Children

DOI : 10.21483/qwoaud.42..201812.140
  • 110

본 연구는 차생활의 과정으로 찻자리 준비과정, 차 우리기, 차 마시기, 다구 정리하기 등을 통해 명상을 극대화시키는 행다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행다명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에 위치한 A유치원 26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B유치원 23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행다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나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유아를 대상으로 행다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에 먼저 집단 간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기조절력과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을 중심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행다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사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을 중심으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PSS 21.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행다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전체 자기조절력의 사후검사 점수와 자기조절능력의 하위 요소(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하기, 정서 인식하기, 정서 억제하기, 정서 대처하기)의 사후 검사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행다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전체 자기효능감의 사후 검사 점수와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소(인지적 영역, 신체적 영역, 사회 및 정서적 영역)의 사후 검사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행다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자기조절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행다명상 프로그램은 차의 효능과 다구의 일체감으로 유아의 올바른 성장과 정서적 안정감을 돕는 효과적인 명상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tea ceremony meditation program that maximizes meditation through the process of tea life, tea preparation, tea ceremony, tea drink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watched he tea ceremony meditation program how to make self-control and the self-efficacy in childre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26 kindergartens were selected as experiment group from March 2014 to March 2015 and 23 kindergartens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tea ceremony medit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take any action. Before the meditation program was applied to infant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on the sub-items of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secure group homogeneit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tea ceremony medita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posttest score of total self-control and the sub-actors of self-control ability (plan, check and evaluate, emotion recognition, emotion suppression, dealing with emotion),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tea ceremony medit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control ability.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tea ceremony meditation program, t-test on post-test scores of post-test scores and self-efficacy sub-factors (cognitiv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par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tea ceremony meditation program.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