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886.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식공유, 혁신행동, 직무만족 및 일몰입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Relationships for Knowledge Sharing, Innovative Behavior, Job Satisfaction and Work Engagement

DOI : 10.38115/asgba.2018.15.6.281
  • 1,343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과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기술의 발전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현재의 기업환경은 구성원 및 조직으로 하여금 지속적이고 탄력적인 대응과 구성원 개인차원의 혁신 및 과업을 위한 역량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즉, 구성원 개인차원의 역량강화와 과업에 대한 보다 효과적 접근을 필요로 하며 이는 과업에 대한 조직 구성원에 의한 지식의 축적 및 활용이 과업수행을 위한 역량강화와 일에 대한 몰입의 정도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에 의해 조직몰입 및 직무몰입에 대한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개인차원의 일몰입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이는 성과달성을 위한 개인차원의 일몰입 연구의 필요성과 이를 강화할 수 있는 요인과의 연관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이 축적하고 구성원 간 공유되는 지식이 일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구성원 개인의 직무에 대한 만족과 각자의 역할에서 혁신을 통한 행동의 개선 간의 관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차원의 업무특성을 지원하고 있는 사기업 및 공조직을 대상으로 구성원 개인의 지식공유가 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 으며, 동시에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의 매개효과에 대해 가설을 설정하여 설문 및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검정 및 분석결과 지식공유의 하부요인인 형식지는 일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암묵지는 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혁신행동과 직무만족은 지식 공유와 일몰입 간의 관계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차원의 일몰입에 대한 중요성과 더불어 조직구성원간의 지식공유 및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의 강화가 조직의 성과달성을 위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 하였다.

Individual’s spontaneous efforts can e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and it will enable organization to reward to individual as circular chain. Especially, the current management environment with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mak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 to response continuously and flexibly as well as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 individual level. This research is trying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sharing that created or internalized by individual and work engagement as well as the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of individual and innovative behavior to create better performance. To do that, researcher analyzed the effect of knowledge sharing to work engagement for enterprise and public organizations. At the same time, hypothesis of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between two variations. Structural equation has been used for distributed and collected survey. Data verification and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tacit knowledge which is sub variable of knowledge sharing effect to work engagement while another sub variable, formal knowledge has not effective. And, innovative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work engagement. This result has implication the importance of knowledge sharing in individual level for effectiveness to work engagement as well as reinforcement of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will be highly valuable variation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