陝西~河北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詩經 韓奕篇의 追[濊] 貊을 漢代 이후 문헌에 보이는 요령 길림지역의 예 맥과 같은 실체로 보는 입장에서는 예 맥의 이동에 의한 고조선의 성립을 주장한다. 반면에 맥을 북방민족의 범칭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고구려 등장 이전 맥이 라는 실체는 없었던 것으로 본다. 전자는 이동의 흔적을 고고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呂氏春秋 恃君覽篇의 “非濱之東 夷穢之鄕”에서 ‘非濱’은 ‘北濱’이 아니라 ‘渭濱’의 誤記이 다. ‘非濱之東’은 위수가의 동쪽으로 東夷가 거주하던 지역이다. 사료의 시점도 전국시기[저술시 기]가 아닌 서주시기이다. 예는 선진시기 동이가 거주하였던 하북성과 산동성 사이에 있었다. 이 예는 요령 길림지역에 거주하였던 예와는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다. 따라서 고조선예족설은 성립되기 어렵다. 管子 小匡篇의 穢貉은 선진문헌에서 예와 맥이 연칭되는 유일한 사례이다. 관자 가 전국시기 이후에 재편집되는 과정에서 제환공의 업적을 과장하기 위해 북벌 대상에 예맥이 포함되었다. 이것은 후대의 윤색 보입이다. 이러한 윤색 보입도 독자가 당대의 사실인 것처럼 받아들이게끔 사실에 기초해서 이루어지기 마련이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오히려 이런 사실을 통해 기인 기원전 7세기 중반 연칭으로서 예맥이라는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고 본다.
A group of scholars who see Chu[Ye] 追[濊] and Mek 貊 in the chapter of Hanyi 韓奕篇 of Shijing 詩經 as the very Ye and Mek in the Liaoning region after the Han period argues that Ye and Mek moved to the region. At the same time, other scholars who interpret Mek as a general term for northern peoples deny the hypothesis that Ye and Mek moved to the region. In fact the former group cnanot support their idea with archaeological evidences. Yi 夷 and Ye 穢 which appears in the chapter of Shijunlan 恃君覽篇 of Lushichunqui 呂氏 春秋 refers to barbarians beyond the eastern territory of Western Zhou. Then Ye was between present-day Hebei and Shandong provinces. This Ye people was not relevant to the Ye people who lived present-day Liaodong and Jilin provinces. The Ye and Mek in the chapter of Xiaokuang 小匡篇 of Guanzi 管子 is the only case where Ye and Mek appears together among pre-Qin documents. It is when Guanzi was re-written by later scholars that Ye and Mek was fictively added into the text as targets of the northern campaign of Duke Huan 桓公 of Qi 齊. In this process we can note that there really existed an entity which was called Ye and Mek in mid seventh century BCE when Duke Huan launched the campaign.
Ⅰ. 머리말
Ⅱ. 詩經 韓奕篇의 ‘追’와 ‘貊’ : 예맥이동설의 비판적 검토
Ⅲ. 呂氏春秋 恃君覽篇의 ‘夷穢’ : 고조선예족설의 비판적 검토
Ⅳ. 管子 小匡篇의 ‘穢貉’ : 연칭으로서 예맥의 실체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