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사회안전이 여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A Multilevel Analysis of Effect of Community Safety on Depression : Comparison among Age Groups

  • 188

본 연구는 최근 심각성을 더하는 여성 우울의 원인을 연령집단별로 개인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지역사회안전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환경요인으로 주목하고, 개인적 요인인 스트레스 및 건강상태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다층모형 분석의 요건을 충족하는 207개 지역 6,839명의 데이터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지역사회안전 변인은 독립적으로 20-30대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일 뿐 아니라 개인요인인 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적인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20-30대 우울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이들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우울의 원인을 개인적 측면뿐 아니라 환경적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여성의 우울에 대한 이론적 확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우울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층적 실천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s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such as stress and health and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community safety on depression in women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and to find out what alternatives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women’s depression. This study utilizes KLoWF 6 wave data on 6,839 individuals in 207 district by a random sampling method and employs the method of multi-level analys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ults : (1)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safety and depression of age group 20s-30s. (2)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factors such as stress and health and depression of women of all ages ; and (3)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safety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age group 20s-30s. This study provides new evidence and practical strategies on preventing depression of age group 20s-30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