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여성관리자의 경력성공에 관한 종단연구

Longitudinal Study on the Career Success of Women Manager

  • 194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의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와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관련 요인과 조직 관련 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의 3차년도~6차년도의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관리자의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관적 경력성공은 선형으로 증가하는 변화함수 형태를 보였다. 또한 객관적 경력성공의 초기값은 주관적 경력성공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주관적 경력성공의 초기값은 객관적 경력성공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여성관리자의 경력성공 변화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교육수준은 객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멘토 유무, 여성친화적 근로자지원제도, 유연근무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관리자의 경력성공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women managers over ti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lso,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affect intercept and the growth of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o this end, longitudinal panel data, Korean Women Manager Panel(KWMP), were analyzed through latent growth model(LG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women managers demonstrated linear growth. Second, whereas the initial value of objective career success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change i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initial value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were not significant to the change i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ird, age and education level were significant to objective career success. On the other hand, mentoring, employee assistance program, flexitime were significant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way of improving career success of women manager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the future research.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