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여성 직장인의 개인생활 및 직장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ersonal Life & Work Life Satisfaction of Female Workers

  • 156

오늘날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인해 생산가능인구가 점차 감소함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여성의 직장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뿐만 아니라, 여성은 가정과 직장 사이에서 요구되는 역할 갈등 때문에 이중 부담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 직장인의 개인생활 및 직장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2014년과 2016년의 1,196개 데이터를 선정하여 Pooled OLS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목표 지위, 조직 내외 멘토 유무, 비공식적 모임 여부 및 직장생활에 대한 배우자의 태도는 개인생활 및 직장생활 만족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급여/임금에 대한 차별 경험은 개인생활 및 직장생활 만족도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부서/업무 배치, 교육훈련 및 인사고과에 대한 차별 경험은 오직 직장생활 만족도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여성 직장인의 경우에는 오직 개인생활 만족도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여성 직장인의 개인생활 및 직장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개인, 직장 및 기타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여성 직장인과 관련된 연구수행 및 정책/전략 수립 시 활용 가능할 것이다.

Today, women are increasing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as working age population decreases due to low fertility and aging. However, women are still suffering from the role conflicts required between home and work as well as the negative social perceptions of women’s work lif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s an exploratory study on various factors affecting personal life & work life satisfaction of female workers. For the analysis, we use data from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 of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nd analyze Pooled OLS by selecting 1,196 data from 2014 and 201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goal status, mentor inside/outside the organization, informal gathering, spouse’s attitude toward work life have positive effects on personal life and work life satisfaction.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salary/wage negatively affects both personal life and work life satisfaction, but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department/work arrangement, education/training, and employee evaluation negatively affects only work lif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female workers with children, only personal life satisfaction is negatively affec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personal life & work life satisfaction of female workers in terms of individual, work and other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conducting research and establishing policy/strategy related to female workers.

Ⅰ. 서 론

Ⅱ. 연구 배경

Ⅲ. 연구 질문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및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