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글로벌 월경위생 캠페인의 전개와 월경인권 담론 연구

Human Rights Discourse on Menstruation in Global Campaign of Menstrual Hygiene Management

  • 188

지구화 시대 월경은 이제 글로벌 인권 규범과 개발 의제로서 ‘인권으로서 월경’을 논하는 시점에 와있다. 2000년대 들어서 새천년을 맞이한 글로벌 사회에서 월경 문제는 페미니즘 논의와 운동에서 오래된 재생산권리의 이슈나 글로벌 개발에서의 성재생산건강권의 목표에서가 아니라, 아이러니하게도 지속가능한 환경 목표에서 물과 위생의 문제에서 다뤄지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월경위생 담론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배경을 살펴보고, 월경위생의 날 캠페인과 물과 위생 개발 연구보고서를 통해 개발 주체들이 생산하고 있는 월경위생 관리 담론을 분석한다. 글로벌 월경금기, 월경 통계를 포함하여 특히 아시아의 낙후한 저개발 지역의 월경 현실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 글로벌 인권규범이 월경위생 담론을 어떻게 뒷받침하고 있는지를 주요하게 살펴본다. 이에 월경 문제를 위생과 보건의 개발 의제로 제한하는 한계를 넘어서, 여성의 월경 경험이 월경인권으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젠더와 성재생산건강권리의 여성주의 의제로 확장되어 한다는 점을 제언한다.

In the globalization era. menstruation is now at the point of discussing ‘menstruation as human rights’ as a global human rights norm and development agenda. In the global society in the mid-2000s, the menstruation problem was not addressed in the debate on feminism and reproduction rights movement, nor in the goal of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 in global development, but in the irony of sustainable environmental goals in the issue of water, hygiene and san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menstrual discourse produced by the subjects of menstrual hygiene management through the menstrual hygiene day campaign and research report. It examines how menstrual reality, including the global menstrual taboo and menstruation statistics, in the underdeveloped regions of Asia is represented and how global human rights norms support the menstrual hygiene discourse. This suggests that women’s menstrual experience is extended to the feminist agenda of gender and reproductive rights in order to become a menstrual human right, beyond limiting menstrual problems to hygiene sanitation and health development agendas.

Ⅰ. 서 론

Ⅱ. 월경위생과 월경인권 담론의 전개

Ⅲ. 글로벌 월경 캠페인 사례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