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가 지각한 신기술 적용매장의 유용성과 수용성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Receptiveness to High-tech Convenient Store
- 김경자(Kim, Kyungja) 심인선(Shim, Inseon)
- 한국소비문화학회
- 소비문화연구
- 제21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12
- 47 - 66 (20 pages)
본 연구는 ‘아마존고’와 같이, 새로운 신기술이 적용된 매장에 대해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유용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수용성을 살펴보았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신기술 수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유용성을 효율성과 신속성, 편리성, 유익성, 유희성의 다섯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자료는 2017년 11월과 12월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세 이상 성인 소비자 377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신기술매장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가장 크게 인식하였고 효율성과 유익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여성 소비자는 남성에 비해 유용성 인식과 수용성 점수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5개 유용성 차원 중에서 소비자의 신기술매장 수용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두 요인은 편리성과 유익성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기술 적용매장에서는 기업의 비용부담이 높아져 소비자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receptiveness to high-tech convenient store such as ‘Amazon Go’.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77 male and females who were over 20 in November and December of 2017.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the 5 useful factors of the high-tech store, respondents perceived convenience the most and then speediness the next. Efficiency and beneficiality of the store were not perceived highly by consumers as expected. Females perceived the usefulness and receptiveness of the store much more than males did in general. The more consumers perceived the convenience and beneficiality of the store, the more they tended to be receptive to the store.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o enhance high-tech store acceptance.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