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943.jpg
KCI등재 학술저널

스마트폰 사용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족교류의 조절된 매개효과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 on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use and life satisfaction

  • 99

이 연구는 일상적 공간을 가상세계로 확장한 스마트폰의 사용이 개인의 삶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주목한다. 특히 관련 주제를 탐색한 선행연구의 결과가 연구마다 비일관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그 이유를 규명하려는 노력이 부재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한다. 524명의 54세 이하 비고령자와 352명의 55세 이상 고령자 자료를 이용해 스마트폰 사용과 삶의 만족도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가족교류의 매개효과와 세대의 조절효과를 하나의 모형으로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 사용이 가족교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족교류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족교류의 매개효과는 비고령세대에서만 유의미함으로써 세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he use of smartphones, which transforms everyday space to virtual reality, influences one’s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starts from a special concern on the inconsistent results of prior researches and the lack of effort to explain such inconsistenc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life satisfaction using data form 524 non-aged persons below the age of 55 and 352 aged persons 55 or older, analyzing the combined model of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s showed a controlled effect of the meditat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use of smartphones causes static family interaction and the meditating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which causes a static influence on the influence of family interaction on life satisfaction, is only significant among the non-aged persons, showing that it is controlled by generational differences.

요약문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