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949.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제강점기 천주교회의 한글 맞춤법 이해 - Viribus Unitis 를 중심으로 -

Korean Catholic Church’s understanding about the Hangeul Orthograph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based on Viribus Unitis

  • 68

1933년 10월 29일에 공표된 <한글마춤법통일안>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공식 입장이 수록된 Viribus Unitis(일치된 힘으로) 의 &#65378;조선교회가 최근 받아들인 맞춤범에 관하여(De Orthographia Recenter Recepta Ab Ecclesia Coreana)&#65379;와 &#65378;한글 마춤법의 여러 실질적 개념들에 관하여(De Quibusdam Notionibus Practicis Orthoghaphiae Coreanae)&#65379;는 일제강점기(1910-1945) 가톨 릭교회의 한글 맞춤법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한민족에게 있어 민족어 보존의 중요성을 교회 전체 차원에서 환기시키고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일제강점기, 적어도 1930년대까지의 가톨릭 선교사에 대한 평가를 재고할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에 본고는 이 두 문서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를 통해 집필 목적과 집필진을 논의하고, 국어학사적 의미를 <한글마춤법통일안>과의 상관관계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두 문서가 <한글마춤법통일안>을 받아들인 뒤 신철자법, 곧 한글 맞춤법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회 내의 다양한 논란들을 잠재우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글 맞춤법과 맞춤법에 관한 여러 실질적 개념들을 설명함으로써 사목자들이 현장에서도 맞춤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인쇄 매체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밝혔다. 둘째, &#65378;조선교회가 최근 받아들인 마춤법에 관하여&#65379;는 원형근 주교의 책임 하에 주재용 신부가 작성했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한 사람의 견해가 담겨 있는 글이 아닌 다양한 층위의 집필진이 존재하고 있음을 제시 하였다. 그리고 &#65378;한글 마춤법의 여러 실질적 개념들에 관하여&#65379;는 원형근 주교의 부탁을 받은 또 다른 조선인 사제에 의해 저술된 문서로 추정하고, 그를 특정하는 작업은 추후 연구를 위해 남겨 두었다. 셋째, 기존의 맞춤법과 차별된 <한글마춤법통일안>의 특징을 중심으로 진행한 두 문서에 관한 연구를 통해 Viribus Unitis 에 담긴 두 문서의 집필진이 <한글마춤법통일안>이 제시하는 원칙을 그대로 수용할 뿐만 아니라 논지를 그대로 반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글마 춤법통일안>의 이론적 배경을 역사적, 언어학적 측면에서 논거하고, 실제적 적용양상을 화용론적 관점에서 상술함으로써 이를 적극 수용·보급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이러한 배경으로 두 문서의 집필진과 <한글마춤법통일안>을 집성한 ‘조선어학회’의 회원 간 인적교류의 가능성을 유추해봄으로써 일제강점기 가톨릭교회가 한글 맞춤법의 정립을 위해 이들과 공유한 문제의식과 <한글마춤법통일안>을 위해 기울인 관심과 노력에 대해 주목하고, 조선가 톨릭교회와 선교사에 대한 평가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 였다.

Two documents of Viribus Unitis, “De Orthographia Recenter Recepta Ab Ecclesia Coreana” and “De Quibusdam Notionibus Practicis Orthoghaphiae Coreanae”show us the official understanding of Korean Catholic Church about the Draft for the Unification of Hangeul Orthography, published in May 29, 1933. They give us an opportunity to revaluate catholic missionar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t least until 1930’s because they show us their deep interests in the preservation of the korean language during that period. In addition, these two document are regarded as useful documents to study for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Hangeul Orthography during the same period.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argues about the original purpose of their publishment and their authorship, based on the philological study for the purpose of further studie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documents and the Draft for the Unification of hangeul Orthography. As results, firstly, concerning to the purpose of their publishment, it is supposed that two documents were published both to settle several disputes caused by the new orthography after the korean church accepted it officially as well as to help the priests to apply it in their own pastoral circumstances,explaining its several practical concepts. Secondly, concerning to the authorship, the first document, Orthographia Recenter Recepta Ab Ecclesia Coreana is suggested to be written by Fr. Paul Tjou, Jae-Yong under the responsibility of Mon. Adrianus Larribeau, the bishop of the apostolic vicariate of Seoul. However it is not a work by a single writer but a multiple-layer works by a group of writers. And the second document, Orthographia Recenter Recepta Ab Ecclesia Coreana and De Quibusdam Notionibus Practicis Orthoghaphiae Coreanae is supposed to be written not by the same writer, Fr. Paul Tjou, Jae-Yong but by a different and unknown priest who accepted the requests of Mon. Adrianus Larribeau, whose identification is not discussed in this paper and left for the further study. Thirdly,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y, the authors of two documents seem to have accepted the very principles of the Draft for the Unification of hangeul Orthography and repeat them in their documents as it is. In addition, they seem to have discussed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raft for the Unification of hangeul Orthography in the historical and linguistical aspect as well as to have tried to promote its spread, explaining about how to apply it in the practical way. Fourthly, it is supposed that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their missionar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shared the opinions with the members of 조선어학회(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 who has worked for the Draft for the Unification of hangeul Orthography, through their possible exchange of scholars. This actually offers a well-grounded foundation both for the further study and for the revalu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their missionaries during this period.

Ⅰ. 서론

Ⅱ. Viribus Unitis 에 대한 문헌학적 분석

2.1. 집필 목적

2.2. 집필진

Ⅲ. Viribus Unitis 와 <한글마춤법 통일안>에 대한 비교분석

3.1. 목차 비교

3.2. 맞춤법 내용 비교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