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가계의 예비적 저축과 소비:
China private Consumption and Precautionary Savings - Specially about China Migrant Worker
- 성균관대학교 무역연구소
- Asian Trade Risk Management(ATRM)
- 제3권 제2호
- 2019.01
- 1 - 26 (26 pages)
중국은 개혁개방 이래 투자와 수출 중심의 정부 주도 경제성장 모델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나 최근 미국의 보호무역 장벽과 고도 성장기에 쌓은 기업부채, 그림자금융 등 금융부실문제 등으로 성장통을 겪고 있다. 중국 정부는 수년 전부터 산업을 구조조정하고 첨단산업과 3차서비스산업을 키우며 소비를 확대하여 과도한 수출 및 투자 의존적인 경제를 바꾸고자 내수를 키우고 소비를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한 대규모 농민공들이 도시에 정착하지 못하고 예비적 저축을 확대하며 소비의 주체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동성제약가설에 의한 농민공의 예비적 저축 현상을 이해하고 분위회귀분석을 통해 중국의 호구별 소득분위별 소비지출의 소득탄력성을 분석한 뒤 소득분위에 따라 소득탄력성이 변화하는 양상을 연구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에 의하면 소득분위가 올라갈수록 소비지출의 탄력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농민공이 더욱 탄력적으로 변화하였 다. 이는 농민공의 소비증대를 위하여 소득을 안정시키고, 직업을 안정시키는 등의 일관된 정책을 취할 경우, 현재 미래소득의 불안감과 도시생활 정착이 쉽지 않아 예비적 저축을 확대하고 있는 농민공의 경우에도, 향후 소비의 주체로서 성장할 여지가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중국 정부가 내수 확대 정책을 취할 때 참고할만한 시사점이 크다고 할수 있겠다.
Even though China had a wonderful economic growth by the government-driven economy model and export·investment-driven growth model since the 1972, new open economy era, nowadays China has been suffering from high corporate debt problem, protectionism with U.S.A., and financial insecurities. China government is promoting new growth engines such as IT industries, 3rd service industries, urbanization and private consumption boosting, and so on. But urbanization and private consumption boosting policy has a trouble with migrant workers’ precautionary savings. This study discusses a kind of precautionary savings of China migrant worker in viewpoint of LCPIH(Liquidity Constraint Permanent Income Hypothesis), and analyzes China’s income elasticity of consumption by worker groups and by income status in method of quantile regression. This study says that if income status is increased, consumption is getting more elastic. Especially the migrant worker’s income elasticity is getting elastic more rapidly. This study suggests that china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migrant workers’ social securities and income stabilities in order for migrant workers to consume their income instead of precautionary savings. This study is somewhat practical, so lack of theoretical development, but gives a lot of implications toward market investors and economists in viewpoint of new growth engines and economy balancing both to Korea and to China. Because both Korea and China need new growth engine, have a trouble with population problems, should promote private consumption and boost domestic demands. Especially Korea has a lot of disputes about temporary workers, minimum-wage policy, income-driven growth policy, so this study want to give a kind of clue toward these discussions.
Abstract
Ⅰ. 서론
Ⅱ. 기본 개념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