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가계부채 보유여부와 규모에 관한 요인분석
A Study on the china s Household Debt and its Determinats
- 성균관대학교 무역연구소
- Asian Trade Risk Management(ATRM)
- 제3권 제2호
- 2019.01
- 1 - 26 (26 pages)
중국은 최근 들어 경제성장 둔화와 더불어 부채규모가 빠른 속도로 증가해 경제위기론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국내외 관심에 비해 중국 가계부채를 미시적인 관점에서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중국조차 가계부채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연구는 한국형 가계부채지표와 총부채부담비율 가이드라인을 실증분석에 활용해 중국 가구의 가계부채 보유수준을 살펴보고 부채보유여부와 부채규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중국 4대 직할도시의 소득 대비 지출수준은 높게 나타나 과소비 경향이 있으나 가계부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자산은 부채를 증대시키는 주요 요인이었으나 총부채부담지표가 4.6%에 불과해 부채부담수준은 양호한 편이다. 주목할 점은 대졸이상, 고위험고수익, 저소득층과 30대 구간에서 부채보유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이 향후 중국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주역일 가능성이 크므로 가계부채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 될 전망이다.
In recent years, China has been experiencing a slowing economy and the rapid growth of its debt, Many countries and research institutes worried about household debt scale and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China s economic crisis. Compare to social interest, An research of China s household debt was not enoug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examine the level of China household debt using Korean household 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ratio and the total debt burden ratio guideline and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As a result, The level of expenditure as a percentage of income is high, but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the household debt level is insignificant. Assets were the main factor for increasing debt, but the total debt burden index was only 4.6%, The debt burden level is very safety. Particularly interesting is that debt holdings tend to be higher in college graduates, high-risk high-return group and low-income group and age 30s, and the group s household debt will continue to expand. Unfortunately, that will become the mainstay of the Chinese economy.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