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 탐구
Inquiry of Concept of Curriculum Literacy: Focus on the Cases of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9권 2호
-
2019.01201 - 222 (22 pages)
-
DOI : 10.22251/jlcci.2019.19.2.201
- 2,257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문해력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사들의 교육과정 비평문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을 탐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 중 사례분석이며, 연구자료로서 교육과정 비평문은 총49편으로 2018년 4, 5월에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과정 읽기와 쓰기로 대분류 되었다. 교육과정 읽기는 교육과정 텍스트 읽기, 자기 텍스트 읽기, 현장 텍스트 읽기로 소분류되었고, 교육 과정 쓰기는 교육과정 텍스트 쓰기, 통합하여 쓰기, 계속 읽으며 쓰기, 학생과 함께 쓰기로 소분류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문해력은 기능적 수준과 구성적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교육과정 문서 등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교사의 맥락으로 다시 구성 할 수 있는 비평적 수준의 역량을 의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과정 읽기, 교육 과정 쓰기, 교육과정 문해력의 수준이라는 3차원적 개념도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연구 의 자료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으나,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 과정 문해력의 개념을 명확히 인식하고 성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각급 교육 청 정책 자료의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s society changes rapidly and the capacity required for students is diversified, autonomy for teacher s curriculum development is emphasized.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curriculum literacy as well as the capacity of teachers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is being rais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ior research on the subject of curriculum literacy and analyzed the criticism of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s who practiced the teacher-centered curriculum and explored the concept of curriculum literacy. The research method is cas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was classified into reading and writing of the curriculum. Reading the curriculum was subdivided into curriculum text reading, self-text reading, and on-site text reading. Curriculum writing was divided into curriculum text writing, integrated writing, continuing reading and writing and writing with students. In addition,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requires critical level of the teacher.
Ⅰ. 서론
Ⅱ. 교육과정 문해력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Ⅲ. 교육과정 문해력 실천사례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