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054.jpg
KCI등재 학술저널

폭력적 극단주의자의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경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nd pathways affecting on the violent extremists’ attacking behaviors

  • 335

테러의 양상이 변하고 있다. 이전과 같이 전통적인 테러리스트가 여전히 활동하고 있지만 동시에 폭력적 극단주의자라고 하 는 전통적인 테러리스트의 범주에 포함시키기 적절치 않거나 다소 애매모호한 새로운 유형의 테러공격자가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폭력적 극단주의자는 어떤 정체성(identity)이나 본질(essence)을 의미하기 보다는 변화해가는 일련의 과정에 있는 개인들(individuals)을 의미한다. 이 일련의 과정은 급진화(radicalization)와 극단주의(extremism)로 이루어진다. 대체로 급진화를 극단주의적인 이념과 가치들을 한 개인이 발전시켜나가고 내면화하는 어떤 과정(process)이나 경로(pathway)로 그리고 극단주의를 그 급진화가 충분히 진행되어 개인이 극단주의에 대한 신념을 충분히 내면화한 궁극적 종착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폭력적 극단주의에 대한 우려에서 출발하여 폭력적 극단주의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요인들과 경로에 대해 조사한다. 폭력적 극단주의자의 형성과정과 경로를 이해하기 위해 인생경로(life-course) 이론을 이론적 틀로 이용한다. 한 개인의 폭력적 극단화 과정은 여러 단계별 요인들의 축적된 영향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은 한 개인의 인생경로를 따라 나타나고 발전된다. 이 연구의 질적분석결과는 그러한 복합적인 축적된 영향을 경험적으로 보여준다. 각 단계별 심리, 성격 요인과 긴장, 스트레스 요인, 사회유대요인과 사회학습요인, 그리고 기회, 상황요인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그러한 복합적인 인과적 영향을 만들어 낸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존 폭력적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프로파일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동시에 새로운 프로파일의 가능성에 대해 제안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참조한다면 보다 종단적이고 요인들 간의 복합적 상호작용과 경로모델에 기초한 프로파일링의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Terrorism is evolving. Traditional terrorists are still active but at the same time a new breed of terrorists called violent extremists has been more and more visible. Violent extremists means individuals who are o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rather than who have a certain identity or an essence. Such process is made of radicalization and extremism. Radicalization is a process of pathway and extremism is a final destination of such process or pathway. This article investigates causal factors or pathways affecting on the formation of violent extremists. It uses life-course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 individual’s process of violent radicalization is an outcome of accumulated effects of a series of factors. Such accumulated effects appear and evolve along an individual’s life-cours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empirically show such integrated accumulated effects. Psychological and personal, strain or stress, social bonding, social learning, and opportunistic and situational factors in each step are all interrelated and produce complex causal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questions the existing profiling practices on violent extremists and proposes a new potentiality of profiling.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 new profiling based on longitudinal and pathway-based multiple causal factors can be suggested.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독일사례분석

Ⅵ.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