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IMBYism, Social Capital and Civic Engagement
개인의 님비(NIMBY) 태도 변화에 대한 사회자본과 시민참여의 영향 - 일반신뢰, 자원봉사, 기부를 중심으로 -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4 No.11
- : KCI등재
- 2018.11
- 43 - 58 (16 pages)
본 연구는 일반신뢰, 자원봉사ㆍ기부가 개인의 님비 태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조사 1ㆍ7ㆍ10차 종단자료(13,821명)를 대상으로 성장혼합모형 (GMM)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님비 태도 잠재계층은 님비 태도 변화 속도에 따라 빠른 증가 집단, 중간 증가 집단, 느린 증가 집단,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일반신뢰, 자원봉사, 기부 각각은 갈등 을 완화하기도 하고 촉진하기도 하는 효과의 이중성을 보였다. 일반신뢰는 님비 태도의 중간ㆍ빠른 증가 집단 대비 낮은 속도 증가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였고, 자원봉사와 기부는 빠른 증가 대비 중간 속도 증가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였다. 다른 한편으로, 일반신뢰는 중간 속도 그룹 대비 빠른 속도 그룹에 속할 확률을, 자원봉사와 기부는 낮은 속도 증가 집단 대비 중간ㆍ빠른 속도 증가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가 갖는 이론적 의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key thesis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general trust) and civic engagement (volunteering and giving) on Nimbyism, an attitude ascribed to persons who object to the siting of unwanted public facilities in their own neighborhood. To explore this, a growth mixture model was applied to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2006-2015).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low-rapidity NIMBYism, mid-rapidity NIMBYism, and high-rapidity NIMBYism), and that general trust, volunteering and giving not only lowered but also enhanced NIMBYism, depending on how fast NIMBYism increased. Finally,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