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071.jpg
학술저널

기술기획전문가 집단의 미래역량모델에 관한 연구

Foresight Maturity Model of R&D Program Director Group

  • 124

최근 국가 연구개발에 대한 문제점과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어 국가 연구개발 혁신의 핵심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술기획전문가 집단에게 높은 수준의 대응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기술기획전문가란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사업관리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연구개발 분야별 전문가로서 연구개발 사업 전 과정을 상시 책임 관리하는 전문가 집단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기획전문가 집단에게 필요한 미래역량을 규명하고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래예측 성숙도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업기술 분야의 기술기획전문가(PD) 그룹을 대상으로 전문가 인터뷰, 내부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역량모델 초안을 완성하고 모델을 검증하여 3개의 역량 군, 11개 역량으로 구성된 미래역량모 델을 확정하였으며 역량별로 4개의 성숙도 수준을 가진 44개의 행동지표를 기술하였다. 현재의 문제뿐만 아니라 미래의 환경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상황적합 리더십의 필요성과 미래예측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요인에 대한 대응방안도 제시하여 미래역량모델이 지니는 유용성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기획전문가 집단에게 필요한 미래역량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미래역량 육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토대로 활용될 것이다.

In recent years, increasing problems and uncertainties in national R&D have required a high level of responsiveness from the R&D Program Director Group playing a key role in national R&D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the R&D Program Director Group foresight and develop a foresight maturity model to guide the improving of the capabilities. The maturity model consisted of 11 capabilities within 3 capability dimensions derived through interviews, meetings, and surveys of Industrial R&D Program Directors(PD). The maturity levels with a four-maturity-level logic for each capability were defined using qualitative descriptions. We also identified the usefulness of the maturity model by presenting the need for situational leadership that could cope with current problems as well as future environment changes and providing a way to overcome obstacles in the foresight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provide the criteria for the capabilities and to guide the designing of foresight development programs for the R&D Program Director Group.

1. 서 론

2. 이론적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타당성 및 유용성 검증

6. 결론 및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