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099.jpg
KCI등재 학술저널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Displaced Aggression: Focusing 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Job Stress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위반과 직무스트레스의 직렬다중매개효과

DOI : 10.22243/tklq.2018.10.1.55
  • 201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abusive supervision)의 대상인 부하가 자신이 받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동료에게 전위공격하는 과정의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상사에게 무시당하거나 모욕을 받으면 심한 스트레스와 분노를 느껴 상사에게 보복하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지만 불평등 한 지위의 속성상 자신의 불만과 분노를 상사에게 직접 표출하지 못하고 좀 더 상대하기 쉬운 동료에게 화풀이하는 전위공격성(displaced aggression)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상사는 조직의 대리인이라고 보기 때문에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을 심리적 계약위반(psychological contract breach)으로 인식할 경우, 자신의 반생산적 행동을 정당화하는 경향을 보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계약위반을 적절한 조직의 지원을 상실한 것으로 인지하여 직무스트레스(job stress)가 가중된다.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면 자원보존을 위해 스트레스 대응 행동을 하게 되는데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은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이기 때문 에 회피전략을 택하게 된다. 결국 분노와 불만 표출을 억제하다가 일종의 자기치료적 스트레스 해소 전략으로 전위공격성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구성원의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계약 위반과 직무스트레스의 직렬다중매개효과(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정확한 추론을 하기 위해 국내 300인 이상의 기업에 근무하는 28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변수의 개인차를 통제하기 위해 A형 성격과 부정정서를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은 구성원의 전위공경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구성원의 전위공격성 간에 심리적 계약위반은 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구성원의 전위공격성 간에 직무스트레스는 정(+)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구성원의 전위공격성 간에 심리적 계약위반과 직무스트레스는 정(+)의 직렬다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적으로는 기존에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의 결과변수로 다뤘던 다양한 변수 외에 전위공격성을 추가하고 전위공격성이 나타나는 과정을 실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의 희생자가 또 다른 희생자를 만드는 전위공격성의 파급효과의 위험성을 알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적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mechanism behind the subordinates’ use of displaced aggression on colleagues as a way to relieve the stress they experience from abusive supervision. When employees are ignored or insulted by their supervisors, they undergo intense feelings of stress and anger that trigger the wish to retaliate, but the difference in rank can lead them to express their dissatisfaction and anger on those who are relatively easier to deal with, such as their colleagues, thereby engaging in displaced aggression. Since supervisors are seen as representatives of the organization, abusive supervision can be perceived as a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by employees, and if so, such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can lead to the justification of unproductive behavior and the feeling that one has lost the support of the organization, causing an increase in job stress. Higher job stress levels lead to stress-coping strategies to conserve resources; because abusive supervision is a hindrance stressor, employees are apt to choose an escape strategy to relieve the stress. As a result, the suppressed anger and dissatisfaction manifests itself in the form of displaced aggression as a sort of self-therapeutic stress relief strategy. This study examined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displaced aggression. For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mechanism behind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285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n workers at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nd the individual-level differences were controlled by setting Type A personality and negative affectivity as control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busive supervis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subordinates’ displaced aggression, and that psychological contract did not directly mediate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Also,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and the positiv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job stress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was confirmed.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abusive supervision and its effects by including and verifying displaced aggression as one of its outcome variables and demonstrating how displaced aggression can be triggered from abusive supervision. From the practical stand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dangers of the rippl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where the victim of abusive supervision creates other victims through displaced aggression, calling for a greater effor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search Hypotheses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Results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