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097.jpg
학술저널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PBL수업 연구

Study on PBL Instruction for Improving Computing Thinking

  • 145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갖추어야 할 능력은 ‘문제 해결 능력’, ‘창의력’, ‘협업능력’ 이다. 이 역량들을 기르기 위해 최근 소프트웨어 교육이 주목 받고 있고 교육의 방법은 변화돼야할 필요가 있다. 이전에는 컴퓨터 소양 교육과 컴퓨터 활용 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답이 주어진 문제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창의력을 발휘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업이 진행 되어야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에 거리낌 없이 다가갈 수 있도록, 쉽고 재미있는 프로그래밍 수업 방식을 연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A중학교와 B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PBL을 반영한 정보교과를 지도하였고 수업 후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에 도움이 된 부분을 설문 조사 하였다. 그 결과 각 학교에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지식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problem solving ability , creativity and collaboration ability . To raise these competencies, software educ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recently, and the way of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In the past, if education centered on computer literacy education and computer literacy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classes should be taught to solve problems by demonstrating creativity on their own, not by teaching the answers giv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sy and fun programming methods so that students can actively approach the programming language according to their needs.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 middle school and B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instructed the information curriculum reflecting the PBL. After the class, we surveyed the parts that helped students interest and learning.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took lessons in each school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nterest and motivation of learning as a whole. It was also helpful in terms of knowledg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