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퍼스널컬러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of Personal Color
- 김현미(Hyun-Mi Kim) 윤천성(Chun-Sung Youn)
- 한국뷰티산업학회
- 뷰티산업연구
- 제12권 제2호
- 2018.12
- 5 - 18 (14 pages)
현대사회는 이미지 시대로 이미지를 이상적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색에 대한 관심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을 찾아 실제 자신의 모습보다는 타인에게 이상적으로 보이기 위해 이미지 연출을 하고 있으며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을 찾기 위해 퍼스널컬러의 진단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퍼스널컬러 관련 석. 박사 학위 논문 연구 동향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5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퍼스널컬러에 대한 석, 박사 학위논문은 전국 27개의 발행처 중 6편 이상을 발행한 원광대학교, 한남대학교, 홍익대학교를 중심으로 발표되고 있으며, 퍼스널컬러시스템분야의 논문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퍼스널컬러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시감평가, 측색평가, 관능평가 순으로 시감평가가 진단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퍼스널컬러진단요인은 피부, 머리카락, 눈동자, 이미지, 라이프 스타일 순으로 나타났다. 퍼스널컬러와 관련하여 분야별 연구 동향을 살펴 퍼스널컬러에 집중함으로써 관련 연구 분야의 심도 있는 논의를 가능하게 하고 더욱 전문화되는 퍼스널컬러 진단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an era of image, in modern society, more and more people have interest in colors to create the ideal images. Such an interest in colors is to look ideal for others than their actual looks, by finding the colors looking the best on themselves. In order to find the best colors on themselves, the interest in the diagnosis of personal colors is increasing. To understand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master s/doctor s theses related to personal colors published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total 55 thes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ster s/doctor s theses on personal colors are published focusing on Wonkwang University, Hannam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that have published six theses or more, out of total 27 publishers in the whole nation, and the percentage of the theses in the personal color system area was the highest. As methods to diagnose personal colors, the visual evaluation was used the most, which was followed by coloring evaluation, and sensory evaluation in order. The factors of personal color diagnosis included skin, hair, pupil, image, and lifestyle in orde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more specialized-personal color diagnosis programs through in-depth discussions of the relevant research area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 of each area related to personal colors and then concentrating on personal colo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