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111.jpg
학술저널

20~40대 성인 여성의 미용 왁싱 이용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ult Woman’s Waxing Treatment Use Situ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Waxing Treatment

  • 58

본 연구는 외모관리를 통한 이미지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성인여성의 미용 왁싱에 대한 이용 실태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뷰티산업의 한 분야로 성장하고 있는 미용 왁싱 시장의 효과적인 마케팅과 향후 미용 왁싱 산업의 개선 방향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40대 성인 여성의 미용 왁싱에 대한 이용 실태에 관하여 알아본다. 둘째, 20~40대 성인 여성의 미용 왁싱에 대한 만족도에 관하여 알아본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40대 이상 성인 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9월 20일부터 9월 29일까지 10일간 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은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을 채택하였다. 총 450명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과 다수의 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44부를 제외한 유효한 표본총 406부를 최종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 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미용 왁싱에 대한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미용 왁싱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미용 왁싱 이용 실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용 실태에 따라 미용 왁싱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에서 미용 왁싱에 대해 알게 된 경로에 따라서는 인터넷을 통해 알게 된 경우 비교적 추천의사가 높은것으로 나타났고, 시술목적에 따라 기타 목적에 비해 개성을 표출하거나 성적만족, 피부위생 효과, 미용 효과 등을 목적으로 시술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만족도, 재이용의사, 추천의 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작용 여부에 따라서는 부작용이 없는 경우 부작용이 있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족도, 재이용의사, 추천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작용증상에 따라서는 일시적인 모공확장인 경우 상대적으로 재이용의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홍반/열감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재이용의사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ata for effective marketing of waxing treatment growing as a field of the beauty care industry and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and activation of waxing treatment.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adult women’s waxing treatment use situ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waxing treatment, as interest in image improvement increases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The research problems set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urpose above are as follows: First, grasping the use situation of adult women’s waxing treatment. Second, identifying adult women’s satisfaction with waxing treatment. This study set adult women older than 20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s the parent group, and samples were extracted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survey period was 10 days from September 20 to September 29, 2017. As the survey metho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adopted, aft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A total of 406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final empirical analysis out of the valid samples of 450, except 44 copies that presented insincere responses and that did not answer to many questions.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a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21.0 statistical package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es. Specifically, the following analyses were conducted: First,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urvey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measuring tools, and Cronbach s α was calculat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Third, situation of waxing treatment was examined, and a cross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ty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Fourth, satisfaction with waxing treatment was investigated,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axing treatment situation. The Ducan test was performed as a post hoc test.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below: In the analysis result on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waxing treatment according to use situation, an intention to recommend was relatively higher, when they knew about waxing treatment through the Internet, as to channel through which they came to know about waxing treatment. Regarding treatment purpose, satisfaction, an intention to use again, and an intention to recommend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case of receiving waxing treatment for expression of individuality, sexual satisfaction, skin hygiene effect, and beauty care effect, compared with other purposes. Concerning side effects, satisfaction, an intention to use again, and an intention to recommend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case of having no side effects, compared with the case of having side effects. According to side effect syndrome, an intention to use again was highest in the case of temporary expansion of skin pores; however, an intention to use again was lowest in the case of having such syndromes as erythema and hot flush.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