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ㆍ근세 일본의 검지(檢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enChi of Medieval and Early Modern Japan

  • 307
146135.jpg

지적제도는 고대로부터 국가의 통치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세제도로 국가별 특성에 따라 발전되어 왔다. 동양에서는 고대로 부터 인접국인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한국의 양전(量田) 사업에 따른 양안(量案)의 작성과, 일본의 검지(檢地)에 의한 검지장(檢地帳) 작성 등의 토지조사가 이루어졌다. 일본은 일찍이 7세기경부터 간전도(墾田圖)와 개전도(開田圖)를 작성하여 지역의 토지를 관리하였으며, 전국시대 다이묘(大名)들은 자신의 영지를 검지하여 토지대장에 기재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고대 토지조사와, 조선의 양전 사업에 비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통일적으로 시행되었던 일본의 검지에 대하여 고찰하고, 경작지와 토지의 등급, 경작자, 수확량을 조사하여 이를 기준으로 석고제(石高制)를 실시한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태합검지(太閤檢地) 까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인접국 일본의 중 근세 검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검지는 일본 중 근세대에 이르러 농지의 면적과 경작자, 수확량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상당히 현대화된 토지조사와 세무조사 이었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orm the ancient times the cadastral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establishment of a stable taxation system based on the each country’s uniqu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govern the country. In the eastern country, neighboring countries have been influenced by ancient chinese system such as Korea’s registering Yangan after Yangjeon project, Japan’s KenChi which means surveying land and making registering book so called KenChi book. In Japan various maps such as Ganjeondo or Gaejendo have been produced in the early 7th century. In this times the Daimyos can do KenChi their lands and registered by themselves. This research the KenChi project has been compared with Korea’s Yangjeon project. From this research, it is checked that KenChi project had been implemented more systematically than Korea’s Yangjeon project. The registering items such as the grade of land, crops grower and amount of harvest have been reviewed in the Japanese ancient times. The research results shows the KenChi project wa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taxation investigation project that check and register the area of land, crops grower and amount of harvest.

1. 서 론

2. 고대 일본의 토지조사

3. 초기의 검지(檢地)

4. 태합검지(太閤檢地)

5. 결 론

(0)

(0)

로딩중